지난 26일 전북 남원에서 열린 공공의대 관련 토론회에서 ‘남원공공의대 추진시민연대’ 김대규 상임공동대표가 말하고 있다. 시민연대 제공
전북 남원 지역사회가 국립의학전문대학원(공공의대) 설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남원사회봉사단체협의회와 남원시발전헙의회 등 남원지역 시민단체로 꾸려진 ‘남원공공의대 추진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는 31일 “2018년 2월에 폐교한 서남대학교 의대 정원 49명을 활용한 공공의대를 조속히 설치해야 한다. 새롭게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이 아닌 만큼, 의사협회 등에서 반대하는 정원 증원 논란이 성립하지 않는다. 실습병원으로는 공공의료기관인 남원의료원, 국립중앙의료원, 국립대병원 등을 활용해 운영비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또 “공공의대는 보건의료 서비스의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고, 코로나19라는 신종 감염병 사태를 겪으며 더욱 절실해진 국민의 건강권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남원에 공공의대가 설립된다면 현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의 성공모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는 지난 26일 토론회를 열어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안 검토와 공공의대 추진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대규 상임공동대표는 “지역간 의사 수 불균형, 특수분야 의사 수 부족 문제 등이 지속되는 만큼 서남대 의대 49명을 활용한 공공의대가 설치돼야 한다. 국회 방문 등 적극적인 유치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 남원시의회 오동환, 강인식, 김길수(왼쪽부터) 의원이 지난 22일 국회 앞에서 공공의대 법률안 통과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남원시의회 제공
앞서 지난 22~26일 오동환 남원시의회 의원 등 시의원 3명도 국회 앞에서 전북 남원에 공공의대 설립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김성주(전주병) 국회의원은 “이 문제는 오래 전부터 추진해오던 의료계 숙원사업이었다. (2020년에 있었던) 의사들의 파업 때문에 이를 중단하고 안 한다는 것은 국가의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다. 시유지를 포함해 이미 부지가 50% 가량 확보돼 있다”며 “남원지역 의전원은 공공의료 인력을 양성하자는 것으로, 다른 지역에서 관심을 갖는 의대 신설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2018년 2월 전북 남원에 위치한 서남대가 폐교됐고, 그해 4월 정부는 당정협의를 통해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을 결정했다. 두 해 뒤인 2020년 7월에는 보건복지부가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 추진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의사 정원 확대를 반대하는 의사협회와 의대생들이 격렬히 반발하면서 공공의대 설립 추진은 제동이 걸렸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