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전북지사가 6일 오전 전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지역특화형 비자 시범사업 선정과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
전북도는 법무부의 ‘지역특화형 비자’ 시범사업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지역특화형 비자’란 지역 특성과 요구를 반영해 특화요건을 갖춘 외국인에게 해당지역에 일정기간 거주 및 취업 등을 조건으로 비자를 먼저 발급해주는 제도다. 고령화한 지방에 노동인력 및 인재를 공급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됐다. 광역자치단체로 전북과 함께 전남·충남·경북이, 기초자치단체로 경기 연천·경남 고성이 선정됐다고 도는 설명했다.
전북도는 비자 쿼터, 지역별 산업군 등을 고려해 정읍·남원·김제 등 3개시를 사업대상지로 선정하고, 기업체 외국인 인력 수요와 외국인 유학생 현황을 조사하는 등 공모사업에 대비해 왔다. 도는 지역산업의 근간인 기초 제조업과 스마트팜, 보건의료 분야에 외국 인력을 우선 배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외국인 유학생 등 우수 인재가 전북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모국어 통·번역, 고충 상담, 지역생활 정보 서비스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지역특화형 비자를 받은 외국인은 인구감소 지역에서 5년간 취업과 거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의무기간이 지난 후에도 전북에 정착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