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군 담양읍에 있는 전남도립대학교 전경. 전남도립대 누리집 갈무리
부실한 학사 운영으로 도마에 오른 전남도립대학교에 대해 전남도의회가 인사관리규정 손질을 요구했다.
전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 소속 전경선 도의원(더불어민주당)은 9일 전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에서 “학사 운영을 제대로 못 해 학과가 폐지돼도 교원평가에서 70점만 넘으면 재임용된다. 정년이 보장되는 정교수는 어쩔 수 없지만 부교수와 조교수는 재임용심사에서 학사운영능력이 엄격히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남도립대 교원인사관리규정을 보면, 교원업적평가 결과 70점 이상만 받으면 재임용 적격 판정을 받는다. 지금까지 전남도립대 교원 중 재임용심사에서 탈락해 임용되지 않은 교원은 한 명도 없다.
박병호 전남도립대 총장은 “입학률, 충원율, 취업률 등을 반영해 재임용 여부가 결정되도록 규정을 신설하겠다”며 “전임교원 재임용 방침 및 규정 개정방향을 의회와 논의하겠다”고 답했다.
이날 행정감사에서는 전남도립대의 정교수 비율과 연령대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전남도립대는 전체 교수 41명 중 정교수 비율이 85.4%(35명)로 다른 도립대(평균 52.9%)보다 높고 전체 교수 중 50대 이상이 92.7%(38명)에 이른다. 전 의원은 “혁신은 인적 쇄신으로부터 시작된다. 조직 활력을 위한 중장기적 인력 수급계획을 철저히 수립할 것”을 주문했다.
지난 7일 학교 쪽이 발표한 ‘학사운영 혁신안’도 논란이다. 전서현 의원(국민의힘)은 “학생들의 고충을 듣기 위해 학교 누리집에 마련된 공간에는 광고 등만 있을 뿐 사실상 방치돼 있다”고 지적했다. 신민호 의원(더불어민주당)도 “적극적인 혁신안 실천의지를 교직원 모두가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 총장은 “말뿐이 아닌 행동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대학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혁신안에는 내년 입학정원을 올해보다 200명 가까이 줄이고, 4개 학과를 폐지하고 1개 학과를 신설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폐지된 학과의 교수는 명예퇴직을 유도하거나 도 산하기관에 파견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전남도립대는 전남도립담양대학과 전남도립장흥대학이 2004년에 통합해 출범한 전남 유일 공립대다. 올해까지 국비 73억원, 전남도비 1415억원 등 운영비 1489억원을 지원받았다. 지난해 대학기본역량 진단평가에서 전국 7개 도립대 중 유일하게 일반 재정지원 대학에서 탈락하는 등 부실 학사 운영을 지적받아왔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