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목포시가 목원동 일대에 추진하는 테마형 골목길 사업 디자인개발용역 보고서에 나온 벽화 조감도.용역보고서 갈무리
전남 목포시가 목원동 일대에 조성 중인 테마형 골목길 조성사업이 지역의 역사를 배제한 채 추진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목포시민단체 골목길문화연구소(연구소)는 9일 성명을 내어 “‘목원동 테마형 골목길 조성사업’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목포시는 북교동성당 일대에 ‘근대문화예술인골목 4인 테마길 및 골목길 디자인 제안 사업’을 추진 중이다. 기본계획과 디자인 용역은 모두 강릉에 있는 ㄱ, ㄴ업체가 맡았다.
연구소는 용역보고서 분석 결과 무안감리서(옛 신안군청), 경무서 터 구종명비(일제강점기 일본인을 살해한 조선인에게 무혐의 판단을 한 조선인 경찰 공로비), 목포청년회관, 김대중 전 대통령 신혼집, 목포국악의 배출지 권번(옛 술집) 등 지역 문화유산을 고려하지 않은 채 기본계획이 수립됐다고 지적했다. 용역보고서에는 ‘목원서재’를 큰 주제로 오목길·조목길·안목길·너지목길 등으로 길 이름이 붙어있다.
또 연구소는 목포를 대표하는 문인 중 김우진, 김진섭, 차범석, 김현 등의 이름을 딴 골목길 조성 계획은 있으나 일제강점기 청년·노동문제를 다룬 <헐어진 청년회관>, <하수도공사>를 쓴 소설가 박화성은 배제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그러면서 기본계획을 수행하는 보조사업자 공고문의 세부사업 내용에 콘텐츠 개발과 디자인 개발이 빠져 있는 것을 볼 때, 목포시가 용역대로 사업을 추진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보조사업자 지원자격은 공고 시작일(지난달 29일∼13일)이 아닌 접수마감일(12∼13일)을 기준으로 목포에 주소를 둔 단체로 적시해 특정 업체를 염두에 둔 공모라는 의혹도 제기했다.
연구소는 “목원동에는 많은 문화유산이 있지만 목포시는 이를 빼놓은 채 생뚱맞은 지명을 만들어 역사성과 정체성 등을 찾아볼 수 없는 골목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인물 중심의 이야기를 극대화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겨레>는 목포시 문화관광과에 이에 대한 입장을 물었으나 담당자가 없다는 이유로 답변하지 않았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