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식민사관적 표현으로 논란이 불거진 <전라도 천년사> 발간 봉정식이 연기됐다. 문제가 된 대목에 대한 재검토도 이뤄진다.
전북도는 오는 21일 광주시와 전남도와 함께 하려던 봉정식을 취소하고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누리집에 <전라도 천년사> ‘e북’을 공개해 학계 등 각계의 의견을 받는다고 20일 밝혔다. 전라도 천년사는 2018년부터 올해까지 호남권 3개 광역단체가 24억원을 들여 추진한 역사 기록 작업이다. 고려 현종 9년(1018년)부터 전라도 정명(定名) 천년(2018년)까지 1천년 역사를 기록하려고 했으나 편찬 범위를 확대해 5천년사를 담았다.
2만 쪽에 이르는 역사서로 탄생했으나, 전북 남원시의 옛 지명을 ‘기문국’(己汶國)으로, 전북 장수군 지명을 ‘반파국’(伴跛國)으로 쓰는 등 일본이 고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任那)일본부’설의 근거로 쓰인 <일본서기> 기술을 차용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
앞서 역사 왜곡 의혹을 제기한 ‘전라도오천년사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는 성명을 통해 “일본 극우파와 강단학자들이 날조한 용어가 버젓이 책에 쓰인 것에 통탄을 금할 수 없다. 최종본이 공개되면 얼마나 더 많은 왜곡과 날조가 발견될지 누구도 알 수 없다”고 봉정식 취소를 촉구했다.
전북도 쪽은 “<전라도 천년사> 발간 자체를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 공론화 과정을 거친 뒤 공신력을 확보하는 시점에 봉정식을 재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