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기초자치단체 10곳 중 8곳은 소멸위험지역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격자통계로 보는 호남권 지방소멸 변화상’을 보면 2021년 기준 지방소멸위험지수는 전남 0.36, 전북 0.46 광주 0.87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은 0.72로, 17개 광역시·도 중 전남과 전북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39살 여성 수를 65살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상대 비율로, 가임기 여성이 감소할수록 비율이 낮아진다. 낮음(1.5 이상), 보통(1.0∼1.5), 소멸주의(0.5∼1.0), 위험진입(0.2∼0.5 미만), 고위험(0.2 미만) 등 5단계로 나눈다. 위험 진입과 고위험 지역은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전남은 전체 22개 시·군 중 18곳이 소멸위험지역이었다. 목포시(0.56)와 순천시(0.69), 광양시(0.71), 무안군(0.60) 등 4곳은 제외됐으나 시단위 지역인 여수(0.46)와 나주(0.47) 등 2곳은 포함됐다. 이 중 고흥(0.1), 신안(0.11), 보성(0.12), 함평(0.13), 구례(0.14) 등 11곳은 소멸 고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전북지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전북 14개 시·군 중 전주(0.81), 군산(0.52), 익산(0.51)을 제외한 11곳이 소멸 위험지역으로 나왔다. 광주는 5개 자치구 중 광산구(1.33)만 보통 단계였고 나머지 4개 구는 소멸주의 단계였다.
광주광역시 서구 동천동에 있는 호남지방통계청 청사 전경.호남지방통계청 누리집 갈무리
2000년과 비교해 소멸위험 지역은 전남 10곳, 전북 7곳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기준 소멸위험지수는 전남 0.97, 전북 1.32, 광주 3.28이었다.
통계청은 인구감소를 주요 요인으로 보고 있다. 지난 7년간(2015~2021) 연평균 인구증감률은 전북 -0.54%, 광주 -0.42%, 전남 -0.29%였다. 같은 기간 중 소멸 위험지역 연평균 인구증감률은 전북 -0.98%, 전남 -0.44%로 인구감소가 더욱 심각했다. 고령화 비율(전체 인구 중 65살 이상 인구 비율)은 전남 24.5%, 전북 22.2%, 광주 14.9%, 청년 비율(전체 인구 중 19∼34살 인구 비율)은 광주 21.4%, 전북 17.7%, 전남 15.2% 순이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