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들이 28일 나주시민회관에서 영산강 살리기와 지역상생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있다. 영산강재자연화시민행동 제공
연말로 다가온 국가물관리위원회의 4대강 보 처리 결정을 앞두고 영산강의 수질과 관광을 되살려 주민을 이롭게 하자는 논의가 시작됐다.
영산강재자연화시민행동과 영산강살리기네트워크 등 4개 단체는 28일 전남 나주시민회관에서 영산강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지역주민의 상생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들은 전날 4대강의 미래를 결정할 대통령 소속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출범하자 서둘러 영산강의 현안을 점검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박종찬 광주대 교수는 지난 2월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 기획위원회에서 제시한 죽산보 해체가 나주지역에 끼칠 영향을 전망했다. 그는 “8·15 이후에도 나주 영산포에는 20~30t급 어선 20~40척이 정박했다. 1977년 상류에 나주·담양·장성댐이 건설되면서 수운이 중단됐다. 이후 2011년 승촌보와 죽산보가 만들어져 1.1억㎥의 물을 가두면서 주민의 삶에 영향을 끼치게 됐다”고 정리했다. 그는 이어 “죽산보의 경우 해체하면 수질·생태 개선과 관리비용 절감으로 1000억원의 편익이 나오고, 해체비 250억원과 대책비 250억원 등 500억원을 들여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나주지역에는 끼치는 경제적 관광적 영향은 장기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는 “보 해체로 수위가 낮아지면 관광상품인 황포돛배의 선착장을 영산포에서 다야뜰로 이전해야 한다. 이전했을 때 영산포 홍어의 거리가 위축되고 다야뜰 편의시설을 늘려야 하는 부담이 있다. 하지만 지난해 황포돛배 이용자가 나주 관광객 160만명의 1.4%인 2만3000여명에 그쳐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했다. 또 “보 해체는 여러 관점을 검토해 신중하게 결정하고, 결정이 나면 이를 수용해야 한다. 예상되는 주민 피해나 불이익에 대해 상쇄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승수 전남대 교수는 영산강의 자연성 회복 방안으로 “강 하구의 총가치는 경작지의 250배, 호수의 2.7배, 갯벌의 2.3배에 이른다. 하굿둑의 수문을 부분 해수유통이 가능한 개방형으로 바꿔 기수(짠물과 민물이 섞인 물)환경을 복원하고 관광기능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채연 지역문화관광연구소 소장도 “영산강의 이수와 치수 기능을 회복하려면 주민들이 스스로 내 집 앞 도랑과 둠벙을 살리는 참여형 민관협치를 이뤄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지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나주시의회에서 죽산보 해체를 반대하는 등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모든 논의가 강을 살리고, 물을 살리고, 주민공동체를 살리는 쪽으로 모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