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광주 YMCA에서 ‘억압에 맞선 시민들’을 주제로 열린 홍콩시민 초청 간담회에서 국내에 거주하는 홍콩시민이 홍콩 상황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시민단체가 재한 홍콩시민을 초청해 홍콩시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간담회가 우여곡절 끝에 열렸다.
광주인권회의 등 시민단체는 10일 오후 7시 광주 와이엠시에이(YMCA) 백제실에서 ‘억압에 맞선 시민들’을 주제로 재한 홍콩인 초청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서 자신을 홍콩시민이라고 만 밝힌 ㄱ씨는 “이번 홍콩시위에서 진압이 있었던 이공대학 출신이다. 학교에 다닐 때 5·18 민주화운동을 배우기 위해 교수들과 광주를 방문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홍콩 첫 시위로부터 6개월이 지났다. 현재 큰 충돌은 없다. 홍콩 민주화 시위는 범죄인 송환법 때문에 갑자기 일어난 것이 아니라 중국 반환 이후 위협받고 있는 민주주의에 대한 투쟁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시민단체는 전남대학교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문화전당)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원래 전남대 인문대학 강의실에서 행사를 진행하려 했지만, 중국 영사관 쪽의 압박을 받은 전남대가 장소 대관을 취소했다. 옛 전남도청 별관으로 장소 변경을 시도했지만, 문화전당 쪽도 별관은 대관 장소가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했다”고 주장했다.
ㄱ씨도 이와 관련해 “5·18 항쟁이 시작된 전남대에서 광주시민들과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해 기대하고 왔는데 취소됐다는 소리에 놀랐다. 단지 말만 하겠다는 것인데 그것도 못하게 한다”고 말했다.
전남대는 “중국 유학생들과의 충돌을 우려한 조처였으며, 시민단체 쪽을 극적으로 설득하기 위해 중국총영사관의 압박 이야기를 지어낸 것”이라고 해명했다. 문화전당 쪽은 “대관에 대해 공식 요청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에 취소·불허·통보 등 일체 행정 행위가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광주인권회의 등은 국가인권위원회, 교육부, 전남대학교 인권센터 등에 진정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한편, 경찰은 이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간담회 건물 주변에 경비인력을 배치했지만, 중국 유학생 등과의 충돌은 없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