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광주시민단체 회원들이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앞에서 문희상 국회의장이 전날 대표 발의한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제공
‘문희상안’에 반대하는 광주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지원단체가 잇단 항의 전화에 곤혹을 겪고 있다.
24일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회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주말부터 이 단체 사무실과 근무자 개인 휴대전화로 일부 일제강제징용피해자 유가족들의 항의전화가 빗발치고 있다. 항의 전화는 대부분 “당신들이 왜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보상에 반대하느냐. 나서지 말아라”라는 내용으로 알려졌다.
전화 응대에 지친 근무자들이 전화를 받지 않자 일부 유가족은 문자메시지로 욕설 섞인 과격한 언사를 보내고 ‘사무실을 폭파하겠다’는 등 해코지를 예고하기도 했다. 근무자들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한때 사무실을 비워놓기도 했다.
‘근로정신대 시민모임’ 쪽은 항의하는 유가족들을 피하기보다는 ‘문희상안’의 허점과 문제점에 대해 적극 이야기를 나눠 설득한다는 방침이다.
‘근로정신대 시민모임’ 관계자는 “항의하는 유가족들도 충분히 공감한다. 1965년 굴욕적인 한일협정에 이어 40년이 넘도록 제대로 된 보상과 사죄를 받지 못한 채 피해자와 유가족들은 세상을 떠나거나 고령이 됐다. 많은 피해자와 유족들은 지금이 보상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얼마가 모일지 모르는 기부금으로 강제징용 피해자 22만명에게 위로금을 지급하겠다는 ‘문희상안’은 현실성이 없다. 사죄를 먼저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문희상 국회의장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으로 지난 18일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 법률안은 한·일 기업 기부금과 양국 국민들의 자발적 성금으로 재단을 만들어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위자료(위로금)를 지급하는 내용으로 ‘문희상안’ 또는 ‘1+1+α' 안이라고 불린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