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남구청사 전경. 광주시 남구청 누리집 갈무리
거동이 불편한 남편과 그를 돌보던 50대 이주여성이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사건과 관련해, 광주시 남구청이 응급안전 알림 서비스 운영체계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남구청은 “독거노인·중증 장애인 응급안전 알림 서비스 체계 강화를 위해 응급관리 요원을 확충하고 이상 신호가 감지된 대상자는 대체 인력을 투입해 안부를 신속히 확인하겠다”고 10일 밝혔다.
남구청은 응급관리 요원을 확충해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기존 1명이 모니터링 업무를 담당해 휴가나 출장 등을 가면 업무공백이 발생했다. 응급안전 알림 서비스 업무를 위탁받은 남구노인복지관에게는 응급관리 요원이 자리를 비울 경우 복지관 직원을 업무 대행자로 투입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고령정책과 등 구청 내 주무부서와 동 행정복지센터는 동별 응급안전 알림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명단을 공유해,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행정복지센터 직원이 신속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했다. 독거세대는 전담 사회복지사와 생활 지원사, 공무원과 시민들로 구성된 ‘7979 봉사단’을 투입해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숨진 부부의 유족에 대해서는 유류품 정리와 장례를 돕고 장례비와 왕복 항공권, 체류비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6일 광주시 남구의 한 주택에서 남구청으로부터 응급안전 알림 서비스의 하나로 동작감지기를 지원받은 60대 장애인과 50대 외국인 아내가 함께 숨진 채 발견됐다. 이 부부는 지난달 29일부터 동작이 감지되지 않았지만, 담당 직원은 휴일 등을 이유로 일주일이 지나서야 방문한 것으로 나타나 남구청은 관리부실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