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조선대학교 경상대학에서 ‘왜 재난인문학인가?’를 주제로 학술대회가 열리고 있다. 조선대학교 제공
2011년 동일본 대지진부터 2014년 세월호 참사, 지난해 호주 산불, 최근 안나푸르나 눈사태까지 지구 곳곳에 발생한 재난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은 21일 오전 11시 조선대 경상대학 8층 세미나A실에서 ‘왜 재난인문학인가?’를 주제로 제2회 국내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왜 재난을 인문학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한편,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3국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비교하는 자리다.
강희숙 사업단장은 기조 발표에서 “지금까지의 재난학은 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의 대상이었다. 유형과 원인을 분석한 뒤 대책과 법규를 만드는 것에 관심을 뒀었다. 이제는 인간을 중심에 놓고 재난을 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제1부 ‘재난과 인문학’, 제2부 ‘재난과 역사’로 나뉜 발표에서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2014년 세월호 참사, 5·18민주화운동 등을 사례로 재난인문학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
발표자들은 2011년 3월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은 방재 선진국으로 불리던 일본의 지진학을 송두리째 바꾼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지진학은 광범위하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대규모 지진 전조 현상을 관측하는데 중점을 뒀다. 하지만 2011년 대지진은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전조 현상 없이 일어났다. 이후 일본 학자들은 기록과 유적에 있는 흔적을 토대로 과거 대규모 지진을 분석하는 ‘역사지진학’(지진고고학)에 치중하고 있다.
또한 세월호 참사로 인해 국민은 나라와 국가의 개념을 분리하기 시작했으며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홍콩은 광주다” “광주=세월호” 등 과거에는 허용될 수 없었던 극단적 언어들이 출현했다고 주장했다.
강희숙 단장은 “동아시아 3국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지만 한 국가에 재난이 발생하면 나머지 국가들도 자유로울 수 없다. 인문학 관점에서 각 재난의 보편성을 이해하고 치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