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제40주년 5·18민주화운동기념식이 열리는 광주광역시 동구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 연합뉴스
올해 5·18민주화운동 국가기념식이 처음으로 옛 전남도청 앞에서 개최된다. 1981년 광주 망월동 시립공원묘지(5·18구묘역)에서 시작한 희생자 추모식이 국립5·18민주묘지를 거쳐 40년 만에 항쟁의 중심지로 온 것이다. 시대적 조건에 따라 달라져 온 5·18 추모식 장소는 그 자체가 광주의 슬픔을 대변한다.
5·18 당시 희생자 유족들은 광주가 진압된 지 이틀 후인 1980년 5월29일 망월동 묘지에 주검 126구를 안장하고 합동위령제를 진행했다. 신군부는 망월동 묘역을 중심으로 한 광주학살 진상 요구를 억누르기 위해 유족들을 모질게 탄압했다. 망월동 성역화를 막기 위해 보상금을 내걸고 유족들에게 묘지를 이전할 것을 강요했고 추모제도 금지했다. 1981년 5월18일 5·18 1주기 추모제에선 미국의 책임을 묻는 성명서를 낭독하고 가두행진을 시도했다는 이유로 당시 유족회원 정수만씨가 국가보안법 등 위반 혐의로 구속돼 1년간 수감되기도 했다. 다른 유족들도 매년 망월동 묘지에서 진상을 요구했다가 구금·연행되는 고초를 겪었다.
이후 김영삼 정권이 들어서고 1997년 국립5·18민주묘지가 조성된 뒤 5·18추모제는 정부 주관으로 치러졌다. 1980년 5월 망월동 묘지의 의미를 기억하는 유가족들과 광주시민들은 국립묘지 기념식 개최에 동의하면서도 ‘5·18을 박제화했다’며 실망하기도 했다.
올해는 올바른 기념식의 의미를 살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박구용 전남대 철학과 교수는 “1980년대 5·18 구묘역에서 열린 추모제는 사실상 항쟁의 연속이었고 국립묘지 기념식은 제사의 개념이 컸다. 옛 전남도청 앞 광장은 계엄군의 집단발포와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 죽음을 각오한 도청 사수 등 여러 의미가 응축된 곳이다. 이번 기념식은 광장을 통한 5·18 정신 확산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국가보훈처는 18일 오전 10시 광주광역시 동구 5·18민주광장(옛 전남도청 앞)에서 ‘제40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개최한다. 이날 기념식은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를 주제로 열리며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참석자는 정부 관계자, 5·18민주유공자·유족 등 400여명으로 제한했다. 기념식은 방송인 김제동씨가 사회를 맡아 도입영상, 국민의례, 경과보고, 편지낭독,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