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전남권 의대 신설 추진 의사를 밝히고 있다. 전남도청 제공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발표 이후 전남권 의대를 어디에 둘지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전남 동서부권에 각각 대학병원과 강의캠퍼스를 설치하자는 당초 안에서 각각의 의대를 따로 설립하는 방안으로 조정안을 내놨다. 양쪽 민심을 헤아린 고육책이지만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다.
김 지사는 최근 정책회의에서 “전남의 동·서부권에 각각 의대를 설립해 의료혜택이 고루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목포와 순천에 의대 2곳을 설립하겠다는 취지다. 지난 23일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발표 때 김 지사는 “동서부권에 각각 대학병원과 강의캠퍼스를 설치하겠다”고 ‘분산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런 변화를 놓고 정치권에서는 “다른 시도에서 보고 있어 실현 가능성은 낮다”고 했다. 목포는 ‘원거리 진료의 거점 확보’, 순천은 ‘인구수 대비 서비스 부족’ 을 내세워 양보하지 않을 태세인 탓이다.
지역구 의원들도 사활적이다. 목포 김원이 의원은 30년 숙원인 목포의대 설립을 1호 공약으로 내걸어 물러서기 어렵다. 김 의원 쪽은 ”교육부의 목포의대 설립 용역에서 비용편익(BC) 1.7이 나왔다. 2곳이면 좋겠지만 1곳이라면 목포에 둘 수밖에 없다”고 했다. 여수 김회재 의원은 “동부권은 전남 주민 3분의 1이 사는데도 의료시설이 열약하다. 여수산단과 광양제철 산업재해를 치료해야 한다. 의대는 순천에, 병원은 여수에 설립해야 한다”고 했다.
의대 2곳을 당위로 보는 의견도 나온다. 순천 소병철 의원은 다음달 3일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어 전남권에 융합대학 의대를 설립하고 동서부에 캠퍼스를 두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 실제로 미국의 인디애나대와 퍼듀대가 운영한 융합캠퍼스 사례도 소개한다. 광양 서동용 의원도 “경남에는 의대 3곳에 정원이 294명이다. 의료균형 차원에서 순천·목포에 모두 의대를 두자”고 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말까지 의대 정원을 배정하고 교육부는 내년 4월까지 의대설립 신청을 받아 연말에 심사를 마칠 예정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