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호남

“태극기로 덮인 두 구의 주검이 5·18항쟁의 분노 일으켰다”

등록 2020-09-21 18:23수정 2020-09-22 02:32

‘그들의 5·18…’ 저자 노영기 교수
집담회에서 책 집필 동기 설명
“밝혀지지 않은 발포 명령권자
군 자료 대부분 조작돼 분석 힘들어”
노영기 조선대 교수가 18일 전남대학교 5·18연구소에서 열린 ‘5·18 집담회’에 참석해 ‘왜 군은 국민에게 총을 쏘았나’를 주제로 이야기하고 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노영기 조선대 교수가 18일 전남대학교 5·18연구소에서 열린 ‘5·18 집담회’에 참석해 ‘왜 군은 국민에게 총을 쏘았나’를 주제로 이야기하고 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한국 현대사에서 죽음의 의미가 생각지 못한 파문을 일으킬 때가 있습니다. 1980년 5월21일 새벽 태극기로 덮인 채 옛 전남도청으로 향하던 두 구의 주검이 그렇습니다.”

21일 노영기(53) 조선대학교 교수는 “제주 4·3사건(학생 희생자들), 4·19혁명(김주열), 6월항쟁(박종철)을 살펴보면 모두 죽음에 대한 저항이었다. 5·18민주화운동도 마찬가지다. 5월20일 광주역 앞에서 일어난 계엄군의 첫 집단 발포 때 희생된 사람들은 광주시민들의 분노를 일으켜 10만명을 옛 전남도청으로 모이게 했다”고 말했다.

2005~2007년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관으로 활동한 노 교수는 당시 접했던 방대한 군 기록 등을 바탕으로 올해 5월 <그들의 5·18: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푸른역사)를 펴냈다. 지난 18일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월례집담회 발표자로 나선 노 교수는 “대학 1학년 때인 1987년 5월 광주 남동성당에서 열린 5·18 사진전을 보고 충격받았다” “군 자료를 중심으로 군인들이 왜 국민을 폭행하고 발포했는지 추적했다”며 책 집필 동기를 설명했다.

노 교수는 5월17일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된 뒤, 5월20일 밤 광주역 앞에서 계엄군 집단 발포로 허봉씨, 김재화씨 등 2명이 희생되면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상황이 바뀌었다고 분석했다. 5·18 첫 민간인 사망자는 구타로 인해 숨진 김경철씨였지만, 광주시민들이 5월21일 새벽 태극기에 덮인 채 수레에 실려 금남로로 나온 허씨 등의 주검을 목격한 뒤 “더는 군을 두려워하지 않게 됐다”는 설명이다. 결국 군은 상황을 통제할 수 없게 되자 금남로에 모인 시민을 향해 집단발포했고 시민군은 무장봉기로 맞섰다.

노 교수는 “다만 사북사태나 6월항쟁과 달리 광주만 발포 명령권자나 문서가 밝혀지지 않았다”며 “군 자료는 더 발굴되겠지만 대부분 조작돼 분석에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1.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2.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3.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4.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5.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