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 전경. 광주시교육청 누리집 갈무리
청소년들의 과열 경쟁을 유도하는 전국기능경기대회 순위 공개를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올해 4월 경북지역에서 압박에 시달린 고교생이 극단적 선택까지 했지만 일선 고등학교는 여전히 대회 순위를 학교 홍보 수단으로 삼고 있다.
8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광주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등 광주시민단체는 성명을 내어 “직업교육 공공성 확보하고, 전국기능경기대회(기능대회) 순위 공개 금지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1966년 개발도상국 시기부터 시작한 기능대회는 우수한 숙련 기능을 가진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기능을 겨룸으로써 서로 배우고 즐기는 축제의 장이었다. 하지만 지금의 대회는 학생들이 입상을 목표로 고교 3년 내내 산업현장과 동떨어진 기능을 반복 수련해야 하는 행사로 변질됐다.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거나 수상하지 못한 학생은 차별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2000년대 중반 대기업에서 기능대회 입상자를 채용해온 이래 학생들은 과도한 경쟁에 내몰리며 목숨을 잃는 폐해도 발생했다. 2007년 2월 기능대회 경기 중 냉각기 폭발로 학생이 사망한 데 이어 올해 4월에는 대회를 준비 중이던 경북지역 3학년생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경쟁과열 요소로 지적되고 있는 시·도별 종합순위 폐지’라는 기능대회 개선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일선 학교와 광주광역시교육청, 한국산업인력공단 광주지역본부 등은 보도자료 등을 통해 기능대회 입상을 홍보하며 정부 개선안을 어기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정부는 학생들의 기능반 가입과 탈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권고했지만 광주 대다수 직업계 고등학교는 공개모집 공고 없이 기존 기능반을 전공심화 동아리로 이름만 바꿔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직업교육을 왜곡하는 기능대회를 폐지하거나 개선해 직업교육과정을 정상화하고, 학생에게 진로 기회를 공평하게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