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해수유통추진 공동행동’은 9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새만금 해수유통에 대한 전북도민 여론조사 결과, 찬성과 반대가 각각 65 대 12로 나왔다고 발표했다. 박임근 기자
최근 새만금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해수유통이 필요하다는 환경부 용역보고서가 공개된 가운데, 전북도민들도 해수유통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전북도 쪽은 해수유통 결정은 시기상조라며 반대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결정권을 쥔 새만금위원회는 이달 24일 회의를 열어 해수유통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새만금 해수유통추진 공동행동’은 9일 “새만금 해수유통에 대한 전북도민 여론조사 결과, ‘매우 찬성’ 41.4%, ‘대체로 찬성’ 23.8%로 응답자의 65.2%가 해수유통을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반대 의견은 11.8%(대체로 반대 7.4%, 매우 반대 4.4%), ‘잘 모르겠다’는 23.0%로 집계됐다. 지금까지 새만금 간척사업 자체에 대한 전북도민 대상 여론조사는 여러차례 있었지만, 해수유통에 대한 조사는 처음이다.
조사는 새만금공동행동 의뢰로 여론조사전문기관 이너텍시스템즈가 10월30~31일 18살 이상 도민 1천명을 대상(유선전화 ARS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해수유통 여부는 새만금 개발을 둘러싼 오랜 과제 가운데 하나다. 환경단체는 갯벌 보호와 수질 문제 등으로 해수유통 필요성을 오래전부터 주장했지만, 정부와 전북도는 농업용수 확보 필요성 등을 이유로 이에 반대해왔다. 환경부는 1단계(2001~2010년), 2단계(2011~2020년) 새만금 수질개선사업을 추진한 데 이어, 종합평가 연구용역을 발주해 지난해 7월~올해 9월 관련 평가가 진행됐다. 최근 국회에 제출된 용역 보고서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2단계 수질대책에 3조원이 투입됐지만 새만금호 수질은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를 토대로 오염원 관리 대책과 배수갑문을 운영하는 시나리오별 후속대책 등 복수의 안을 마련해 올해 안에 국무총리실 소속 새만금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새만금 해수유통에 대한 전북도민 여론조사 결과.
전북도는 해수유통에 반대하는 견해를 유지하고 있다. 수질개선사업 용역평가가 진행 중이던 올해 1월에는 기자회견을 열어 “올해 안에 새만금호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이 시기상조이기 때문에 새만금 3단계(2021~2030년) 수질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새만금 개발 등이 계획대로 추진되지 않은 상황에서 조사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었다. 전북도 관계자는 “환경부가 2018년까지 과거 자료로 수질 평가 및 향후 예측을 했으나, 새만금호가 공사 중이던 때 데이터여서 유동성이 크다. 불확실성을 덜어내고 제대로 수질 평가를 하려면 최소 2025년까지 새만금호 내부 개발이 진행된 이후에 해수유통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일부 언론이 보도한 2단계 종합평가 연구용역 보고서를 환경부가 아직 공식 발표하지 않았다. 이 보고서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 등 후속조치를 내놓은 뒤 새만금위원회가 최종 판단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민간과 정부 쪽 위원 20여명으로 구성된 새만금위원회는 해수유통과 후속대책 등을 전반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