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교육청 부교육감이 교육공무직 출신인 전북도의원의 과거 노조 활동 때을 거론해 논란이 일고 있다.
문제의 발언은 지난 24일 열린 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의 전북교육청 예산심사 및 정책질의 과정에서 불거졌다. 최영심(정의당·비례대표) 의원은 학교 돌봄전담사의 상시근로자 전환 등 처우에 대해 질의했다.
정병익 전북교육청 부교육감은 “최 의원님은 전북 교육감이 고용한 휴직 중인 교육공무직이지 않습니까. 교육공무직 노조를 전담하다가 선거에 출마하셔서 휴직 중인 상태인데, 노조전임자 때 하신 말씀과 비슷한 말씀을 의회에서 계속하시는 거로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그러자 최 의원은 “(교육공무직의 방학 중 상시근로자가) 전국 최하위인 상황,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됐기 때문에 얘기하고 있는 것이다. (제가 교육공무직 출신이라는) 이 부분은 언급하실 상황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북지부 수석 부본부장 출신이다.
정 부교육감은 “교육공무직의 임금 인상 등 처우 개선, 복지 향상은 사용자인 교육감과 노조 사이에서 임금협상이나 단체협상을 통해 이뤄내야 하는 사안이다. 의원님 말씀은 교육감의 정당한 교섭력을 굉장히 약화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의원님이 임기를 마치고 교육공무직으로 돌아갔을 때 미래하고도 관련이 있다”라고 맞섰다.
발끈한 최 의원이 “내가 사익을 위해 발언하는 게 아니다”고 따지자 정 부교육감은 “이는 특별한 경우이며 의회에서 들어야 할 사안은 아니다”고 답했다.
전북교육공무직본부 전북지부는 26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 부교육감이 최 의원의 출신을 거론하며 무시하는 발언을 했다. 이는 교육공무직원에 대한 도 교육청의 인식을 명백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정의당 전북도당도 논평에서 “예산심사를 진행하는 의원에게 교육공무직 노조 출신을 거론하며 정당한 의정활동을 깎아내린 행위는 용납할 수 없다. 의원의 전직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정치에 대한 무지이고 노조에 대한 혐오 의식”이라며 공식 사과를 촉구했다.
전북도의회는 “의회 경시 행위”라며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