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부분복원된 전라감영 모습. 전주시 제공
전주시가 조선시대 호남과 제주를 관할했던 전라감영의 완전복원을 추진한다.
전주시는 전라감영 완전복원 추진계획을 세우고, 올해 유관기관과 교류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1단계(동편터)가 복원된 전라감영의 실물을 보니 역사·문화적 가치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부분복원의 한계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며 “2·3단계(서·남편터) 동시 추진도 고려해 큰 틀에서 완전복원해 진실한 위상을 찾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시는 올해부터 부처별 건의와 공감대 형성, 정비·복원 과정 등에 나설 방침이다. 시는 완전복원을 위해 심약당(의료 담당 관리가 집무하는 곳)과 검률당(법률 담당 관리가 집무하는 곳) 등 20여곳의 건물을 복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사업비 798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시는 3월 안으로 제2기 전라감영복원 재창조위원회를 꾸릴 계획이다.
시는 전라감영 복원이 공론화할 당시인 20~30년 전에는 감영 동서 폭이 옛 도청사 범위를 크게 벗어나 완전복원이 어렵다는 판단 아래, 복원 규모를 옛 도청사 부지 안 부분복원으로 결정했다. 그러나 추진과정에서 전라감영 발굴조사 결과, 감영의 동서 폭이 애초 예상과 달리 옛 전북도청사 부지 안에 있는 것으로 확인돼 완전복원이 가능해졌다. 서·남쪽 터를 복원하면 역사적 복원 가치 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적 활용성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북도와 전북경찰의 협조가 필요하다. 복원계획 터의 대부분이 도유지(옛 도청사 터)와 국유지(현 완산경찰서 터)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7일 열린 전라감영 재창조 복원 기념식의 모습. 박임근 기자
시 관계자는 “전라감영이 완전성과 진정성을 갖춰야 진정한 복원 의미가 있다. 터 이전과 매입 등은 확정된 것이 아닌 장기적 숙제다. 전북도, 행안부, 전북경찰, 각계전문가, 주민 등과 꾸준히 타당성·효과성을 공유하고 설득해 역사를 올곧이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전라감영 완전복원에 따른 방문객 수요예측 결과, 오는 2029년 기준 연간 평균 방문객을 127만명으로 전망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