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환 전주시의회 시의원이 지난달 26일 제378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전주시의회 제공
그동안 세 차례 무산됐던 전주·완주 통합문제와 관련해 ‘통합추진 민간협의체’를 만들자는 제안이 전주시의회에서 나왔다. 주민이 주도하는 행정통합을 하자는 것으로, 민간협의체 구성을 위해 전주시가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주시의회 양영환 의원(민생당)은 지난달 26일 열린 제378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지금의 우리와 후대들을 위해 시·군이 통합하면 엄청난 발전과 시너지효과를 나눌 수 있는 곳이 한 곳 남아있는데 바로 전주·완주”라며 통합을 위한 태스크포스 즉각 구성과 가동을 촉구했다.
양 의원은 “1986년 광주시는 광산군과 통합해 광주광역시, 대전시는 대덕군과 통합해 대전광역시, 울산시는 울주군과 통합해 울산광역시가 됐다. 청주·청원은 세 차례 무산됐지만 2014년 통합돼 현재 인구 85만 명에 이르는 중부권 대도시로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역시 또는 특례시로 나가기 위한 주춧돌로 ‘몸집 큰 중추도시’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주장은 광주·전남, 부산·울산·경남 등이 행정통합형 ‘초광역 메가시티’ 구축을 논의하는 상황에서, 송하진 전북지사가 지난 1월 신년회견을 통해 ‘전주·완주 통합을 넘어서는 광역도시 추진’을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인터넷에도 통합 찬성 의견을 나타내는 글이 올라왔다. “단체장과 정치인들 기득권만 내려놓으면 된다”, “과거 이리시·익산군 통합이랑 다르게 이건 완주군민들도 좀 생각을 깊게 해볼 문제다. 기존 전주 시내의 시청을 없애고, 완주군 용진면이 통합시 청사 소재지가 되는 것이다. 완주군민이 피해의식을 가질 필요가 없다” 등이다.
지난달 26일 열린 전주시의회 제378회 임시회 본회의 모습. 전주시의회 제공
하지만 통합론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신중한 모습도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자칫 시·군간 갈등만 키울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전주시 한 관계자는 “선거철이 되면 또 통합론이 나올 수 있다. 시의회 차원에서 통일된 의견으로 성명을 발표하는 등 공감대가 먼저 형성돼야 할 것이다. 전주·완주 통합 논의와 관련해 아직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지난달 열린 완주군의회 임시회에서 정종윤 의원은 “그간 완주·전주 통합론은 선거용 이슈로 악용됐다. 완주군민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행정통합 논의는 갈등만 증폭시킬 뿐이다. 통합으로 완주군민에게 이득이 되는 점이 무엇인지를 따져서 군민을 설득하는 게 순리”라고 말했다. 박성일 완주군수도 지난 1월 신년회견에서 “통합문제는 군민의견에 따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내비쳤다.
전주·완주 통합은 1997년, 2009년, 2013년 등 세 차례 시도했지만 무산됐다. 2013년 6월 실시한 완주군민 주민투표(투표율 53.2%)에서 통합 반대 2만343표(55.34%), 통합 찬성 1만6412표(44.65%)로 반대가 3931표 많이 나왔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