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 등 탈핵단체 회원들이 11일 핵발전소 조기 폐쇄를 촉구하고 있다.
2011년 3월11일 지진으로 인해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방사능 누출사고 10돌을 맞아 광주·전남지역에서 탈핵을 촉구하는 행사가 잇따라 열렸다.
‘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과 ‘한빛핵발전소1·3·4호기 폐쇄를 위한 광주비상회의’ 등 탈핵단체는 11일 광주광역시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을 교훈 삼아 우리나라도 핵발전소 가동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핵발전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탈핵 정책을 표방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지만 오히려 핵발전소가 늘어나고 있다.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만 폐로를 결정했을 뿐 신고리 4호기가 가동을 시작했고 신고리 5, 6호기가 건설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들은 “영광 한빛원전 3, 4호기는 핵발전 사고의 최후 보루인 원자로 격납건물에서 수백개의 공극(빈 공간)이 발견됐고 핵분열을 제어하는 제어봉의 삽입통로를 무자격자들이 용접해 수사를 받고 있다.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문제도 안고 있다. 핵발전소는 조기 폐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8일 ‘영광 한빛핵발전소 안전성 확보를 위한 원불교대책위원회’도 영광군청과 한빛원전 앞에서 탈핵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한빛원전은 1986년 1호기를 시작으로 1987년 2호기, 1995년 3호기, 1996년 4호기, 2002년 5∼6호기의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한빛원전 원자로 격납고에서는 부실시공으로 1호기 14개, 2호기 21개, 3호기 124개, 4호기 140개, 5·6호기 각 1개 공극이 발견돼 안전성 논란이 일었다. 또 잦은 고장, 정비 등으로 1, 4, 5, 6호기는 가동을 멈춘 상태다.
올해 1월 정부는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1호기는 2025년, 2호기는 2026년, 3호기는 2034년 전력공급설비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10일 영광군은 ‘한빛원전 1·2호기 폐로 대비 기본계획수립 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어 수소에너지 중심의 엘엔지(LNG)발전소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글·사진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