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첨단3지구에 들어설 국가데이터센터 조감도. 광주시 제공
국비와 시비 900억원이 투입될 광주 국가데이터센터의 소유권이 민간기업에 통째로 이전될 계획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공공에서 수십억원에 이를 전기요금을 감당하기 힘들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광주시의 설명을 종합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주시 등이 꾸린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인공지능사업단)은 2030년까지 1·2단계로 나눠 광주 첨단3지구에 인공지능 집적단지를 조성하는 데 4116억원을 투입한다. 1단계 사업(2020~24년)의 핵심인 국가데이터센터 건축비와 토지매입비로 325억원이 들고, 추가로 국비·시비 900억원이 투입된다. 이외에 민간기업 엔에이치엔(NHN)㈜은 현물 등으로 2100억원을 투자해 국가데이터센터 안 슈퍼컴퓨터 등 시설을 구축한다.
문제는 국가데이터센터가 준공되면 민간기업인 엔에이치엔이 소유권을 갖는다는 점이다. 시는 애초 국가데이터센터 시설을 준공한 뒤 공공에서 소유권을 갖고 센터 구축 사업자에겐 일정 기간 운영권을 인정하는 방식(BTO)을 검토한 바 있다. 하지만 1단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인공지능사업단은 준공과 동시에 민간기업이 운영권과 소유권을 갖는 방식(BOO)을 채택했다.
사업단 쪽은 막대한 전기요금 부담을 명분으로 내세운다. 컴퓨팅 연산능력 88.5PF(페타플롭스) 규모로 구축되는 국가데이터센터를 공공에서 직접 운영하면 2024년부터 연평균 44억원에 이르는 전기요금을 내야 한다는 설명이다. 소유권을 넘기면서 전기요금 부담을 피할 수 있게 된 대신 인공지능사업단은 앞으로 2단계 사업(2025~30년) 과정에선 민간기업 소유인 국가데이터센터의 장비를 이용하려면 비용을 내야 한다.
이용섭 광주시장이 지난 2월4일 오전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국가인공지능데이터센터 투자협약 및 착수식에 참석해 광주광역시-엔에이치엔-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간 투자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광주시 제공
이 때문에 2단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인공지능 관련 신산업 육성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간업체 소유가 될 국가데이터센터의 각종 서비스를 이용해 다른 중소벤처업체들을 유인할 요인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최근까지 국가데이터센터를 이용하기 위해 투자협약식을 한 중소벤처기업 89곳도 2025년부터 국가데이터센터를 이용할 경우 30%만 무상이고 나머지는 비용을 내야 한다.
손경종 광주시 인공지능산업국장은 “인공지능 분야는 환경이 급속하게 바뀌기 때문에 민간기업에서 운영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데이터센터 이용 요금은 인공지능사업단 운영위원회에서 정하기 때문에 민간기업 신산업 유치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 바로가기 :
광주 국가데이터센터 슈퍼컴퓨터 세계 10위 ‘과잉홍보’ 논란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991637.html
‘토목·건설’ 말고 인공지능(AI) 사업 예타 면제 선택한 광주의 ‘꿈’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98193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