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삼다수를 생산하는 제주도개발공사가 삼다수의 무단반출 의혹을 받는 직원들이 무더기 경찰에 고소됐다.
김정학 제주도개발공사 사장은 5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민 공기업인데도 불구하고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심려를 끼쳐드렸다. 전체 임직원 모두 책임을 통감한다”며 머리를 숙였다.
개발공사는 자체 조사한 결과 삼다수를 빼돌리는데 가담한 직원이 애초 4명에서 6명으로 늘어났으며, 이들을 회사 물건을 무단반출한 혐의(업무상 횡령)로 경찰에 고소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서로 짜고 2ℓ 기준 6912병을 적재한 12팔레트(소비자가 400여만원)를 가로챘다.
개발공사는 이들 가운데 4명은 횡령 혐의를 시인했으나 2명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4명은 지난달 23일 직위 해제했다. 이번 가담자는 생산직 3명과 물류직 1명, 설비자재직 1명, 사회공헌직 1명 등 여러 부서에 걸쳐 있으며, 최상위 직급은 과장이다.
이번 개발공사 감사실의 특별조사는 지난달 초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앱을 통해 삼다수 횡령과 관련한 내부 제보를 알게 된 직후 조사에 들어갔다. 개발공사 쪽은 삼다수 공장 내 특별조사반을 설치해 폐회로텔레비전(CCTV), 관계자 증언, 생산직 라인에 있는 300여명의 직원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조사를 벌였다.
삼다수를 빼돌린 이들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잘못된 제품을 폐기하지 않고 빼돌리거나 큐알(QR)코드를 찍지 않고 일부 남겼다가 무단 반출했다고 밝혔다. 또 이들이 빼돌린 시기는 올해 3차례에 걸쳐 이뤄진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개발공사 쪽은 삼다수를 무단 반출한 사실은 확인했으나, 이를 시장에 유통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 삼다수를 빼돌린 시기가 올해에 국한됐는지, 장기간에 걸쳐 빼돌렸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하지 못했다.
개발공사 쪽은 삼다수만이 아니라 감귤주스 등 다른 음료수 생산제품 등에 대해서도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김 사장은 “사실관계 규명을 통해 의구심이 들지 않도록 사법기관 조사에 성실히 임하도록 하겠다. 앞으로 법과 규정에 따라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제주 삼다수는 국내 먹는 물 시장 점유율의 42%를 차지하는 국내 1위의 먹는 물 생산업체이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