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지하수 함양지대이자 동식물의 서식처로 인정받은 제주 곶자왈. 허호준 기자
제주 환경단체가 제주도의원 선거 출마자들에게 곶자왈 보호 정책과 관련한 입장을 물었으나 70%가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단법인 곶자왈사람들(대표 김정순)이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난 2일부터 17일까지 제주도의원 지역구 후보 65명에게 공개질의한 곶자왈 보전 정책현안과 관련한 답변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이 단체는 공개질의 결과 도의원 후보 65명 가운데 29.2%인 19명이 응답을 했으나, 나머지 70%에 이르는 45명의 후보는 곶자왈 정책현안에 대한 입장을 내지 않았고, 질의서를 받지 않겠다는 후보도 있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곶자왈을 구역으로 구분해 일부 지역만을 보호하는 것이 아닌 곶자왈 자체를 보호하는 방안 △곶자왈 중 지하수 투수성이 높은 지역을 지하수자원보전지구 1등급 상향 또는 1등급 수준의 행위 강화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의 환경영향평가 때 ‘부동의’ 결정 항목이 들어간 환경영향평가 조례 개정에 대한 동의 여부 등이다.
답변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곶자왈 전체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해 보호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8.4%인 13명이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 1명, ‘기타’ 5명이다.
곶자왈 가운데 지하수 투수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지하수자원보전지구 1등급 상향 또는 1등급 수준의 행위 강화에 대해서는 응답자 19명 모두 ‘찬성’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또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의 환경영향평가 때 결정 항목에 ‘동의’, ‘보완동의’, ‘재심의’ 외에 ‘부동의’ 항목을 포함하는 환경영향평가조례 개정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0%인 17명이 ‘찬성’했다.
이 단체는 “곶자왈은 한라산 다음으로 중요한 제주의 환경자산이다. 2015년부터 추진된 곶자왈 보전 핵심사업인 곶자왈 경계 및 보호지역 지정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 입후보한 지역구 도의원 후보의 70%가 곶자왈 보전을 위한 정책 질의에 응답하지 않거나 질의서를 거부한 후보도 있다. 답변서 요청을 위해 전화, 문자, 직접방문 등 후보자들의 곶자왈에 대한 관심과 답변을 유도하기 위해 요청했지만 많은 후보자가 외면했다”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곶자왈은 지하수 함양지대이며, 야생동식물의 서식처이자 피난처이다”라며 “사회적 합의의 결과물인 곶자왈 보전과 관련한 이번 정책 질의가 도민의 대의자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할 도의원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