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반대단체들이 18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토위위원회의 활동 결과와 관련해 제2공항 강행을 저지하기 위해 활동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제주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검토위원회(이하 검토위원회)가 2개월 동안의 활동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한 가운데 반대대책위원회와 시민사회단체들이 제2공항 강행을 적극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제주지역 대학교수들도 관련 절차의 중단을 요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제주 제2공항 성산읍반대대책위원회와 제2공항 반대 범도민행동은 18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토위원회의 활동 종료에 대해 “검토위원회는 숱한 의혹과 쟁점을 해소하기는커녕 더 큰 의혹을 남긴 채 종결됐다. 국토부나 제주도는 갈등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지도 않았고, 더는 갈등해결을 기대할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이 도민 공론화가 시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제주도는 방관자로 일관하면서도 국토부의 조력자 역할을 충실하게 해왔다. 청와대가 나서서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며 “국토부가 19일 오후 제주농어업인회관에서 열 제2공항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혀 물리적 충돌이 예상된다.
제주지역 교수 90명도 이날 선언문을 발표하고 “검토위원회의 활동에 쟁점만 부각됐을 뿐 민주적 합의나 절차적 투명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국토부는 도민들이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결정을 할 때까지 관련 절차를 중단해야 한다. 원희룡 지사는 정치적 행보를 멈추고 도민 입장에서 민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청한다. 국회의원과 도의회도 도민들의 대의에 부응해 활동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검토위원회는 지난 17일 서울 김포공항 한국공항공사 회의실에서 마지막 회의를 열어 합의안을 내지 못한 채 찬·반쪽 입장과 위원장 명의의 중재안 등을 내놓는 데 그쳤다. 찬성(국토부) 쪽은 “입지선정 과정 전반을 검토한 결과 용역 결과와 과정에 문제가 없는 등 입지를 변경할 이유는 없었다”고 밝혔다.
반면, 반대(성산읍 반대 대책위 등)쪽은 “외국기관인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현 공항의 보조활주로를 교차활주로로 활용하면 국토부가 제시한 장기수요를 처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음에도 면밀한 검토 과정 없이 기각되고 보고서에 누락됐다”고 주장했다. 강영진 위원장은 본인 명의의 권고안을 통해 “도와 도의회 등이 도민 의견수렴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줄 것”을 권고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