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한라산 아래 마그마의 존재 여부 등을 조사한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제주 한라산 지하의 화산활동 여부와 마그마 존재 등을 확인하기 위해 대학 연구진(서울대·고려대·부경대)과 함께 ‘제주도 한라산 천부 마그마 구조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도와 대학 연구진이 공동으로 한라산 고지대에 지진관측망을 설치해 미소 지진을 측정·분석하고 지하의 화산활동을 모니터링하며, 마그마의 존재 여부 및 공급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지진계는 고지대(해발 1450~1920m)에 광대역 지진계 5곳, 중산간 지대(해발 600~1942m)에 지표의 움직임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수진기인 지오폰 70곳을 설치해 운영한다. 지진계 설치는 이달 안으로 끝나며 앞으로 6~8개월 동안 지진 자료를 수집하게 된다.
연구진은 이어 지진 파형 정밀분석을 통한 지진 탐지 및 지진파 속도 측정 과정을 거쳐 마그마 존재 및 활동 여부와 구조를 3차원적으로 밝혀낸다.
앞서 이번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국내 대학 연구진은 지난 2014년과 2017년 두 차례에 걸쳐 제주도 중산간 지대에서 지진자료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제주도 중심 하부 55㎞ 심도에 마그마가 존재하며, 제주도 동부와 서부 지하 10~45㎞에도 존재한다며 국제학술지에 보고한 바 있다.
도 세계유산본부는 지진계 등의 수집 자료를 분석해 2년 내 한라산 지하의 마그마 존재 여부 등 확인 결과를 내놓을 계획이다.
그러나 도 세계유산본부는 마그마의 존재가 한라산의 폭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안웅산 도 세계유산부 연구원은 “한라산 등 제주섬 내부 마그마 존재 만으로 한라산의 폭발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마그마가 뜨거워지고 있는지 식고 있는지도 조사해야 한다. 이번 조사는 제주도 중심부 지하의 얕은 지하 마그마 구조를 보다 고해상도로 밝혀 보기 위한 시도이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