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영남

멸종위기 ‘구름병아리난초' 자생지 울산 신불산서 확인

등록 2021-08-26 09:35수정 2021-08-26 10:48

구름병아리난초 꽃잎에 잠자리 한 마리가 날아들었다. 울산시 제공
구름병아리난초 꽃잎에 잠자리 한 마리가 날아들었다. 울산시 제공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보호받는 ‘구름병아리난초' 자생지와 개화 모습이 울산 신불산에서 확인됐다.

울산시는 지난달 31일 울주군 상북면 신불산에서 구름병아리난초 5개체가 흩어져 자라는 서식지를 확인하고 이들 개체의 개화한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고 26일 밝혔다. 울산에서 구름병아리난초가 자생한다는 사실은 2017년부터 알려졌지만 정확한 장소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울산시는 종 다양성 모니터링 조사를 하면서 지난달 중순부터 자생지로 알려진 주변 지역을 조사하던 중 5개체를 확인하게 됐다.

난초과 북방계 식물인 구름병아리난초는 구름이 있는 높은 곳에서 자란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다. 7∼8월 연분홍 꽃을 피우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키는 10∼20㎝로, 알뿌리에서 타원형 잎이 2장 나오고 꽃대가 곧게 올라가 꽃이 한쪽으로만 피는 특징이 있다.

국내에서는 경남 지리산, 경북 가야산, 강원 함백산 등 자생지가 10곳이 채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에서는 일본, 러시아, 중국, 유럽 등의 고산 지대에 분포한다. 낮은 곳에서는 발아가 잘 안 되고 관상 가치가 높아 자생지가 쉽게 훼손될 수 있으므로 환경부가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울산시 환경정책과 담당자는 “생육 상태를 관찰해 자생지 보존이 우선된 상태에서 생태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한겨레 영남 기사 더보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덕유산 ‘눈꽃 명소’ 상제루…2시간 만에 잿더미로 1.

덕유산 ‘눈꽃 명소’ 상제루…2시간 만에 잿더미로

서울시, ‘극한기후’로 일 못하는 일용직 건설노동자에 ‘안심수당’ 2.

서울시, ‘극한기후’로 일 못하는 일용직 건설노동자에 ‘안심수당’

한국사 강사 전한길 “계엄령=계몽령”…음모론 이어 또 망언 3.

한국사 강사 전한길 “계엄령=계몽령”…음모론 이어 또 망언

광주비상행동 “내란특검법 거부 최상목 탄핵해야” 4.

광주비상행동 “내란특검법 거부 최상목 탄핵해야”

무주 설천봉 109.9㎝…설 연휴 폭설에 시달린 전북 5.

무주 설천봉 109.9㎝…설 연휴 폭설에 시달린 전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