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부산시의회 인사검증특별위원회가 부산도시공사·부산교통공사 사장 후보자의 적격성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 부산시의회 제공
부산시의회 인사검증특별위원회(특위)가 박형준 부산시장이 취임 뒤 지명한 공공기관장 두 명이 ‘자격 미달’이라고 시에 통보했다. 두 기관 노조도 임명 철회를 요구하고 있어 박 시장의 결정에 관심이 쏠린다.
부산시는 9일 “부산시의회 인사검증특위가 김용학 부산도시공사 사장 후보자와 한문희 부산교통공사 사장 후보자의 임명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담은 경과보고서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특위는 경과보고서에서 “김 후보자는 부산시와의 인연이 거의 없고, 과거 (남경필 경기지사 시절 경기도시공사 사장 후보자로 지명돼 이뤄진) 경기도의회 인사검증에서 부적격 판단을 받았다”며 “또 인천도시공사 사장을 그만둔 뒤 직무 관련 업체로부터 고액 연봉(4년 15억8천만원)을 받는 등 도덕성에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 정치단체 집회(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참석 등 과거 언행이 우려된다”고 부적격 사유를 밝혔다.
또 특위는 “한 후보자는 부산시와 연고가 없어 지역 현안의 신속한 이해와 적절한 대처가 미흡할 수 있다”며 “한국철도공사 재직 때 건설업체 관계자로부터 골프 접대를 받은 적이 있고, 성과연봉제 도입으로 촉발된 장기파업에 참여한 노조원들을 대량 징계하고 ‘0원 급여명세서’를 보내는 등 부당노동행위를 했다”고 지적했다. 한 후보자는 코레일 경영지원본부장 출신이다.
부산시의회의 인사검증은 2018년 오거돈 시장 때 시작됐다. 당시 부산시와 부산시의회는 협약을 체결해 시 산하 6개 공기업 사장을 부산시장이 지명하면, 시의회가 인사검증을 하기로 했다. 제도 도입 뒤 첫 인사검증에서 시의회는 사장 후보 두명이 자격이 없다는 의견을 냈고, 오 시장은 이들 두 사람을 임명하지 않았다. 박 시장으로서는 전례가 부담스러운 상황인 셈이다.
박 시장으로서는 지난달 29일 부산연구원, 부산신용보증재단, 부산경제진흥원 등 3곳을 인사검증 대상 기관에 추가한 것도 부담이다. 임명을 밀어붙이면 인사검증 대상자를 확대한 진정성이 의심받을 수 있다.
부산시의회의 압박도 거세다. 노기섭 인사검증특위 위원은 “(이들 두 사람은) 취임하더라도 노조의 반대로 조직 내 소통과 화합이 어려울 것이다. 박 시장이 임명을 강행한다면 부산시의회만이 아니라 노동시민사회에서도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부산도시공사노조·부산지하철노조·부산공공성연대·부산지역공공기관노동조합협의회 등도 이날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 시장은 부적격 공공기관장 지명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