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14일 대구시 북구 엑스코에서 ‘대구 2050 탄소중립 전략’ 시민보고회를 열어 전국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2050년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대구시는 14일 북구 엑스코에서 ‘대구 2050 탄소중립 전략’ 시민보고회를 열어 “산업부문을 포함한 2018년 대구 온실가스 배출량(943만t)에 견줘 2030년까지 45%, 2040년까지 70%를 줄이고, 2050년까지 2018년 발생한 대구 온실가스 배출량인 943만t을 감축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의 2050년 탄소중립 전략은 지난해 대구시가 정한 ‘대구시 2030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에 견줘 2030년 기준 1.5배 강화된 수준이다. 지난해는 산업부문을 뺀 2030년 대구 온실가스 배출전망치(1만2605t)에 견줘 30% 감축을 목표로 했지만, 이번 계획에선 2030년까지 감축 목표를 산업부문을 포함한 2018년 대구 온실가스 배출량의 45%로 늘렸다.
대구시는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기후환경, 순환경제, 에너지전환 등 8대 분야에서 모두 24개 과제를 정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대구염색산업단지의 열병합발전소를 수소연료전지발전소로 전환하고, 새로운 산업단지나 도시를 계획할 때는 태양광 등 새재생에너지 전력망을 구축한다. 또 자동차 이용을 줄이려고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서 이동하기 편한 보행자 중심 교통체계를 만들 예정이다. 대구시는 이런 과제들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받아 보완해서 새해 3월 구체적인 이행 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니라 인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도전이다. 시대의 도전에 응답해 혁신을 이루는 대구시민의 역량으로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대구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대구시는 2011년 자치단체 최초로 기후변화대응 계획을 수립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2050 탄소중립 정책을 발표한 뒤, 대구시는 지난 6월 전문가·기업인·환경운동가 등을 포함한 탄소중립시민협의체를 꾸렸고, 7월부터 연구용역을 시작했다. 부산, 경남 등은 2050년 탄소중립 전략을 마련하는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김규현 기자
gyuhy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