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통공사가 도시철도 3호선(모노레일) 운영관리원을 민영화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아 노조 반발을 사고 나섰다.
공공운수노조 대구지하철노조는 18일 “대구교통공사가 민영화와 구조조정으로 사회공공성과 열차의 안전을 포기하려 한다. 시민 안전은 결코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3일 대구교통공사가 발표한 경영혁신 방안을 보면, 조직효율화 방안으로 간부급 관리자 10% 감축, 유사기능 통합 및 지원부서 인력 최소화 등 57명을 확보하고, 도시철도 3호선 운행관리원 51명을 용역으로 전환한다. 3호선 운행관리원은 1단계 전환을 마친 뒤, 나머지 51명도 모두 용역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공사는 확보된 인력을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선 운영에 투입한다. 공사는 이를 통해 40억원을 절감하고, 경비 절감과 긴축 운영으로 160억원을 줄이는 등 예산 200억원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3호선 운행관리원은 열차마다 1명씩 탑승한다. 자동운전 시스템인 3호선 열차에 비상 상황이 생기면 운행관리원이 응급 조처를 해서 직접 운전하고, 고장 열차가 생기면 다른 열차를 연결해 이동시키는 구원 운전을 맡는다. 가장 중요한 업무는 열차가 선로에서 멈췄을 때 스파이럴 슈트(나선형 미끄럼틀)를 설치해 지상으로 비상 탈출구를 만들고 승객 탈출을 돕는 일이다. 평상시에는 승객 민원 업무, 열차 상태 감시 등을 한다. 지난달 한 운행관리원은 열차 안에서 80대 승객이 쓰러졌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해 심폐소생술 등 응급 처치를 하기도 했다.
이성일 대구지하철노조 정책실장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운행관리원을 용역으로 전환하면 공사 직원과 협업도 어렵고, 사고가 났을 때 책임 소재도 불분명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노레일인 3호선은 비상대피로가 없어 열차가 멈췄을 때 운행관리원이 직접 스파이럴 슈트를 설치해야 한다. 승객의 생명과 안전을 다루는 중요한 역할이다. 2017년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화 추진으로 공사의 대부분 업무를 정규직화했는데, 정권이 바뀌자 다시 민영화를 추진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교통공사는 조직효율화 외에도 대구형 통합모빌리티서비스(MaaS)를 도입해 도시철도·버스·철도·개인이동수단 등 교통수단을 연계한 플랫폼을 통해 교통 정보, 교통수단 이용, 환승, 결제 등을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통합정기권을 도입하고, 도시철도 역을 중심으로 버스 노선을 개편한다.
김규현 기자
gyuhy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