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하구 괴정동 부산철광광산 출입구 앞에 출입을 금지하는 푯말들이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에는 폐광산 13곳과 영업 중인 광산 2곳 등 15곳의 광산이 있다. 부산시가 해마다 두차례 환경오염도 조사를 하는데 2021년 조사에선 광산 7곳에서 기준 오염도를 초과한 중금속이 확인됐다.
사하구 괴정동 부산철광광산(1986년 폐쇄) 갱 입구에선 구리(Cu)·납(Pb)이 토양우려기준을 초과했다. 갱 주변 폐석 더미에선 비소(As)가 토양대책기준을 넘겼고, 카드뮴(Cd)·구리·납이 토양우려기준을 초과했다. 폐석 더미와 근접한 등산로에선 비소가 토양대책기준을 넘겼다. 사상구 경창광산 갱 입구와 주변 산책로에선 토양대책기준을 초과한 납이, 갱 주변 텃밭에선 토양우려기준을 초과한 비소·아연(Zn)과 토양대책기준을 초과한 납이 검출됐다.
이런 결과가 나오자 등산객과 주민들은 불안에 떨었다. 이에 부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광해광업공단을 여러 차례 찾아가 “기준 오염도를 초과한 중금속이 검출된 7곳을 토양개량·복원과 오염된 수질개선 등을 하는 광해방지사업 대상에 넣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부산시는 해마다 “대도시권 시가지 광산들도 공해방지사업 대상에 넣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2015년 농경지와 가까운 기장군 일광광산만 광해방지사업 대상에 포함됐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이 농경지와 가까운 광산과 대규모 광산을 집중적으로 관리했기 때문이다. 부산시가 직접 토양개량·복원 등에 나서도 되지만 재정이 넉넉하지 않아 정기적인 검사만 주로 했다.
부산 사상구 경창광산 출입문이 굳게 닫혀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의 호소에 한국광해광업공단은 지난해 부산 광산 6곳에 출입을 제한하는 푯말을 달고 울타리 등 안전시설을 설치했다. 또 올해 광해방지사업 대상 전국 광산 179곳에 부산철광광산과 경창광산을 넣었다. 한국광해공업공단 관계자는 “지금까지 대도시권 시가지 광산을 광해방지사업에 넣지 못했으나 부산 광산 두 곳이 처음으로 포함됐다. 두 광산은 올해 기본·실시설계를 시작으로 토양개량·복원 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이근희 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은 “부산 광산 두 곳을 시작으로 대도시권 시가지 폐광산의 체계적 관리에 물꼬를 튼 것 같다. 나머지 시가지 폐광산들도 광해방지사업에 포함되도록 노력하겠다. 이번에 광해방지사업에 포함된 폐광산 두 곳의 광해방지사업 소요비용은 40억원 정도로 추정되는데 자치단체 재정 절감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평가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