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부산항 북항 재개발구역의 친수공원 경관수로에 떠다니는 쓰레기. 김영동 기자
지난 21일 오후 찾아간 부산항 북항 재개발구역의 친수공원. 수로 곳곳에 스티로폼 박스, 장판 조각, 비닐, 플라스틱 같은 쓰레기가 둥둥 떠다녔다. ‘부산항 힐링야영장’ 맞은편 수로에서는 동네 주민 5~6명이 주위에 떠다니는 쓰레기는 아랑곳하지 않고 맨손으로 해조류인 톳과 조개 등을 채집하고 있었다. “놀러 온 김에 찬거리 하나 챙기는 기다. (쓰레기를 보며) 아이고 마, 잘 씻어 무(먹으)면 된다.” 김아무개(68)씨가 웃으며 말했다.
수로 일부 구간에는 무릎 높이의 안전봉만 바다에 반쯤 잠겨 있을 뿐 안전울타리는 보이지 않았다. “얼른 나와라. 바다에 빠지면 큰일 난다.” 안전봉 근처에서 서성이는 초등학생 아들을 향해 남아무개(41)씨가 소리쳤다. “썰물 때지만, 바람이 세서 위험하다. 안전요원도 없고, 울타리도 없고, 구명튜브도 좀 떨어진 곳에 설치돼 있고. 잘못하면 사고 난다. 조심해야제.” 근처에서 낚시하며 이 모습을 지켜보던 김순영(65)씨가 남씨 부자에게 말했다.
지난 21일 부산항 북항 재개발구역의 친수공원 경관수로에서 한 주민이 톳을 채집하는 모습. 김영동 기자
지난 21일 부산항 북항 재개발구역의 친수공원 한쪽에 폐기물이 쌓여 있는 모습. 김영동 기자
지난 3일 부산항 북항 재개발로 만들어진 친수공원(19만4600㎡)에서 경관용 수로를 포함한 일부(18만㎡)가 개방됐지만,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수로의 경우 부산항만공사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이 서로에게 관리 책임을 미루다가 여론에 떠밀려 누가 관리 주체가 될 것인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결정 전까지 항만공사가 청소업체에 용역을 줘 임시로 관리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지난 21일 부산항 북항 재개발구역의 친수공원 야생화 단지 모습. 김영동 기자
공원의 다른 구역도 관리가 허술하긴 마찬가지다. 잔디광장 근처 야생화 단지에는 흙과 잡초만 무성하고, 외진 곳에는 공사장 폐기물과 자재 등이 쌓여 있다. 친구들과 함께 부산에 온 박아무개(68·경기 수원시)씨는 “부산역 공중보행로에서 공원을 바라볼 때는 근사해 보였는데, 가까이서 돌아보니 여러 쓰레기 등으로 눈살이 찌푸려진다”고 말했다.
친수공원 관리는 ‘부산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조례’에 따라 항만공사가 맡는다. 준공 뒤 이관 신청과 시설 점검 등을 거쳐 관할 지자체가 관리권을 넘겨받게 된다. 부산시 공원정책과 관계자는 “공원을 이관받기 전이라 시가 개입할 수 없다. 이관 뒤 항만공사 등과 협의해 최적화된 관리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마무리 공사, 설비 점검 등이 남아 있어 공원 시설 이관은 빨라도 9월에야 가능하다.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은 “법정 관리 주체만 따질 게 아니라 해양수산부, 부산시, 항만공사, 해양수산청 등 관계 기관이 머리를 맞대어 안전사고 방지 등 제대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