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첫 번째 지방정원인 ‘부산 낙동강 정원’ 계획도. 빨간색 구간이 지방정원이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사상구 삼락동 삼락둔치를 첫 번째 지방정원으로 지정하며 국내 세 번째 국가정원 지정을 받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부산시는 1일 부산 사상구 삼락동 삼락둔치 국유지 400여만㎡ 가운데 문화재보호구역·운동시설 등을 뺀 250만㎡(62.5%)를 부산 첫 번째 지방정원으로 등록(고시)했다. 정원 이름은 ‘부산 낙동강 정원’이다. 낙동강 하류에 자리한 이곳은 농경지로 이용됐으나 2009년 12월~2016년 10월 4대강 사업 때 자연수로, 습지, 보호 숲, 자연 초지, 산책로 등을 조성하면서 지방정원 기본 요건을 갖췄다.
지방정원이 되려면 면적 10만㎡ 이상, 면적 가운데 녹지공간이 40% 이상, 주제정원 마련, 정원전담조직과 전문 관리인 신설 등을 해야 한다. 이에 부산시는 지난해 7월 ‘부산시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조례’를 만들었다. 지난 6월까지 환경부, 문화재청, 산림청 등 14곳과 협의했고 지방정원 예정지 공고와 부산시 지방정원 등록 심의위원회 심의를 끝냈다. 지난달엔 낙동강관리본부에 국가정원 전담팀을 만들었다.
부산시는 부산 낙동강 정원을 철새·사람·공유·야생 등 4가지 주제로 구역을 나눠 운영할 계획이다. 겨울에는 철새 먹이터를 조성해 정원을 철새들에게 내어주고 봄~가을엔 계절별 다양한 꽃밭을 조성해 사람들에게 개방한다.
지방정원에 조성된 감전야생화단지를 활용해 체험·정원교육 공간으로 만들고 보호 숲 녹지대를 시민들이 함께 가꾸는 참여정원으로 조성한다. 삼락둔치 앞쪽 강변을 따라 샛길 생태문화 탐방로를 조성하고 강변에는 걷고 체험할 수 있는 강변정원을, 수로 변에는 갯버들정원과 갈대정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부산 낙동강 정원을 철새와 사람이 공존하는 정원으로 만들어 3년 이상 운영한 뒤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국가정원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가정원은 2곳이다. 2015년 9월 지정된 순천만국가정원(92만6천㎡)과 2019년 7월 지정된 울산 태화강국가정원(83만5천㎡)이다. 국가정원 지정을 받으려면 정원면적이 30만㎡ 이상이어야 하고 5종류 이상 주제별 정원을 갖춰야 한다. 정원전담조직과 전문 관리인을 두고 지방정원 등록 뒤 3년 이상 운영해야 한다.
부산시가 지난해 1월부터 삼락둔치 지방정원 지정을 추진해 1년 7개월 만에 결실을 거뒀지만 국가정원 지정을 받으려면 많은 어려움을 헤쳐나가야 한다. 국유지여서 환경부·산림청·낙동강유역관리청 등과 협의를 해야 하고 환경영향평가도 받아야 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방정원과 다르게 국가정원 지정은 까다롭고 복잡하지만 이제부터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