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청 전경.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창원시청사 이전 문제가 지역의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 시청사 이전 문제가 내년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지역의 중요한 쟁점으로 다시 떠올랐다.
창원시 의창구에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정혜경 진보당 예비후보는 18일 기자회견을 열어 “창원시 의창구 팔용산 기슭에 있는 주한미군 공여지를 돌려받아, 창원시청사를 이곳으로 옮기자”고 제안했다.
창원 팔용산 주한미군 공여지는 정부가 지난 1970년 진해(현재 창원시 진해구)에 주둔한 주한 미해군에게 내준 땅으로, 면적이 426만㎡다. 주한미군은 이 땅을 탄약고와 사격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970년 당시는 이 일대가 개발되기 전이었으나, 현재는 공여지에서 반지름 1㎞ 부근까지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학교 등이 들어섰다.
정혜경 예비후보는 “팔용산 주한미군 공여지는 지리적으로 창원의 가운데 지점이어서, 이곳으로 시청사를 옮기면 창원 전체 균형개발의 중심축이 될 수 있다. 탄약고를 끼고 사는 창원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주한미군 공여지를 반드시 돌려받아야 한다”고 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김수영 국민의힘 예비후보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마산해양신도시로 창원시청사를 옮기자”고 제안했다.
마산해양신도시는 마산 앞바다의 준설토 투기장을 개조한 64만2167㎡ 규모의 인공섬이다. 창원시가 3404억원을 들여 지난 2019년 말 완공했다. 차도교 2개, 인도교 1개 등 다리 3개로 육지와 연결돼 있다. 그러나 민간 개발사업자 선정을 잇달아 실패하면서 소송까지 휘말려, 인공섬 조성공사를 완료하고도 몇 년째 방치하고 있다.
김수영 예비후보는 “창원시 시청사 이전 문제는 통합 창원시 출범 때부터 논란을 일으킨 해묵은 과제다. 또 해양신도시 건설사업도 장기 표류 중이다. 따라서 창원시 시청사를 해양신도시로 이전해서 두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창원시는 2010년 옛 마산·창원·진해 등 3개 시를 통합해서 이뤄졌다. 당시 ‘창원·마산·진해시 통합준비위원회’는 통합시의회가 기본타당성 조사와 교통영향평가 등을 해서 통합시청사를 결정하되, 그때까지 기존 창원시청을 임시청사로 사용하도록 했다. 통합준비위는 통합시청사 후보지로 마산종합운동장과 진해 옛 육군대학 터를 공동 1순위, 창원 39사단 터를 2순위로 정했다.
그러나 이후 3년 동안 갈등만 빚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창원시의회와 창원시는 2013년 임시청사로 사용하던 기존 창원시청을 통합 창원시의 청사로 결정했다. 하지만 기존 창원시청은 창원시 인구가 20만명 수준이던 1980년에 세워진 것으로, 3개 시 통합으로 인구 100만명이 넘는 현재 창원시의 청사로는 너무 작아서 시민과 직원 모두 불편을 겪고 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