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경남 진주시 화재사고 때와 같은 참사를 예방하기 위해 24시간 조현병 환자(정신질환 환자)를 돌보고 감시하는 촘촘한 관리 방안을 마련했다.
부산시는 5일 지역사회 정신건강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관계기관 실무자와 기관장 회의를 네차례 열어서 지역사회 조현병 환자 지원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보건복지부에 건의사항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먼저 정신 응급상황 대응체계가 강화된다. 조현병 환자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정신응급 대응 지역협의체를 만들었다. 부산시와 부산지방경찰청, 부산시소방재난본부, 부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부산시립정신병원이 참여한다. 지금까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우왕좌왕했지만 지역협의체가 구성되면서 신속하게 질서있게 대응이 가능해진다. 협의체는 석달마다 정기회의를 열고 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가동된다. 협의체는 부산의 16개 구·군에도 설치된다.
또 다음달부터 부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안에 응급개입팀을 설치하고 야간에 2명씩 24시간 근무한다. 지금까지는 부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야간 당직자가 1명뿐이어서 경찰과 현장 동행이 힘들었다. 부산시는 야간 당직자를 늘리기 위해 직원 4명을 충원한다.
조현병 환자를 밀착 관리하기 위해 16개 군의 정신건강복지센터 직원을 현재 197명에서 2022년까지 298명으로 증원한다. 101명의 직원이 늘어나면 현재 직원 1명이 관리하는 조현병 환자가 44명에서 20명 이내로 줄어든다.
또 휴일과 야간에 조현병 환자들을 긴급 입원시키는 당직병원을 1곳에서 2곳으로 늘린다. 현재는 부산시립정신병원만 휴일과 야간에 가동되는데 앞으로 부산시립정신병원과 별개로 정신과 의사 4명 이상이 있는 병원 10곳이 번갈아 휴일과 야간에 환자를 추가로 맡는다.
부산시는 조현병 환자들이 퇴원한 뒤에도 입원치료가 필요하면 정신의료기관에서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희망 노크(NOCH·Network of Community-Hospital)’에 참여하는 정신의료기관을 현재 21곳에서 3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조현병 입원환자를 그대로 두면 사회 안전이 위협받으므로 모든 환자의 입원비와 치료비를 국가에서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