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경남지사가 24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경남도정 성과와 향후 운영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지난 1년 동안은 새로운 미래를 위한 준비기간이었다. 이제는 경남도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변화를 만들도록 하겠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24일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사회혁신과 도정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참여 가능한 모든 자원을 동원해, 도민 삶을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도정을 만들겠다”고 도지사 취임 1돌을 앞둔 소감과 각오를 밝혔다. 하지만 이른바 ‘드루킹 사건’과 관련해 보석 상태에서 도정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2심 재판이 도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며, 좋은 결과를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선 경남 관련 각종 현안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오갔다.
대우조선해양 매각과 관련해, 김 지사는 “정부 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므로, 경남도 차원에서 반대하기는 쉽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경남도 역할은 대우조선 노동자들의 고용보장과 협력업체들이 어려워지지 않도록 매각 과정에서 보장받는 것이다. 이것은 반드시 매각의 전제조건이 돼야 한다. 조선업 살리기 상생방안 민간협의체와 함께 이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에 두산중공업 등 지역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탈원전 정책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전제가 정확하지 않다. 두산중공업의 주력사업은 원전이 아니라 석탄화력 관련 터빈사업이다. 에너지 전환은 전 세계 추세인데, 두산중공업은 원전과 석탄화력 등 두 가지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다. 원전 해체사업 등 시대적 흐름에 제대로 대응하면 극복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낙동강 보 개방 논란에 대해선 “보 개방에 찬성한다. 그러나 선 대책 후 개방 입장이다. 농민 피해, 양수·취수 문제 등 보 개방에 따른 피해대책을 마련하면 보 개방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갈등 조짐을 보이는 김해신공항 문제에 대해, 김 지사는 “김해신공항 문제는 김해공항 확장사업이 적정한가와 그렇지 않다고 했을 때 후속대책은 무엇인가 등 크게 두 가지다. 김해공항 확장사업은 대구 통합공항 이전사업과 동시에 결정된 것인데, 국방부와 대구·경북은 대구 통합공항 이전 후보지를 아직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두 사업을 연계해서 추진해야 한다. 제대로 된 대구 통합공항 이전사업이 신속히 추진된다면, 갈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강제폐원된 진주의료원을 대체할 서부경남 공공의료시설에 대해 “경남 전체를 5개 권역으로 나눠서 공공의료 체계를 갖추는 방안을 보건복지부와 논의하고 있다. 서부경남에는 새로운 병원을 세우는 방안과 기존 병원을 공공의료시설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경남 안에서도 공공의료가 취약한 서부경남에 공공의료 기능을 대폭 확충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