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와 ‘서부경남 공공병원설립 도민운동본부’는 강제폐업된 진주의료원의 후속대책을 공론화를 통해 결정하기로 합의했다. 경남도 제공
강제폐업된 경남 진주의료원의 역할을 대신할 공공병원 설립 등 후속대책이 공론화를 통해 마련된다.
김경수 경남도지사 등 경남도 보건복지 관련 간부들과 ‘서부경남 공공병원설립 도민운동본부’ 관계자들은 지난 16일 경남도청 도지사실에서 만나, 공론화 과정을 통해 진주·사천시와 남해·하동·산청군을 아우르는 진주권 공공병원 설립 문제를 결정하기로 합의했다.
도민운동본부는 17일 보도자료를 내 “김경수 지사가 ‘서부경남 공공병원 설립은 위치·규모 등 다양한 검토가 필요한 문제다. 전문가·시민사회·지역주민 등이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을 통해 결정하자’고 제안했고, 도민운동본부가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도민운동본부는 또 ”공론화 과정은 설립 찬반을 논쟁하는 것이 아니라 적정한 공공병원을 최대한 빨리 어떻게 잘 만들 것인가를 논의하고 합의하는 것이다. 경남도민에게 가장 좋은 방법을 찾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16일 만남에서 양쪽은 “서부경남은 의료 취약지역이며 특히 공공의료가 부족해, 공공의료를 최대한 빨리 확충할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 이에 따라 공론화 과정을 진행할 별도 공론화 기구를 만들기로 했다.
도민운동본부의 박윤석 집행위원장은 “도지사를 만난 자리에서 서부경남 공공병원 설립을 확정해 발표하지 못한 아쉬움은 있다. 공공병원 설립의 정당성과 타당성은 이미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았다고 본다. 최대한 빠르게 공론화 과정을 진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남도 보건행정과는 “공론화 과정에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한 폭넓은 의견을 수렴해 올해 안에 결론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진주의료원은 1910년 9월 문을 연 우리나라 대표적 공공의료시설이지만, 홍준표 지사 시절이던 2013년 경남도는 “불어나는 적자를 감당할 수 없다”며 강제폐업시켰다. 경남도는 진주의료원 시설을 수리해 2015년 12월17일 홍 지사의 선거공약이었던 경남도청 서부청사를 이곳에 설치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