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인구가 앞으로 30년 동안 90만명 줄며, 이후엔 더욱 가파르게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남도는 지난 7일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경상남도 미래 인구맵 설계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지난 5월 경남도는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연구팀과 경남연구원에 의뢰해, 경남의 미래 인구변화 예측을 시도하고 있다. 최종결과는 이달 말 나올 예정으로 경남도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정책을 세울 계획이다.
최종보고회 내용을 보면, 경남 인구는 지난해 12월31일 기준 344만8292명으로 2020년에는 337만명으로 줄고, 이후 해마다 평균 3만명씩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2050년에는 250만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때 29살 이하 인구는 전체의 15%에 불과하게 된다. 2050년 이후엔 노인 사망이 늘어나면서, 연평균 5만명씩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출생아는 지난해 2만3000여명이었는데, 2021년 1만9848명으로 2만명선이 무너지고, 2031년 1만4703명으로 1만5000명선도 무너질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5살 이하 영유아 인구도 지난해 16만7000여명에서, 2020년 14만7282명으로 15만명선이 무너지고, 2031년에는 9만8647명으로 10만명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미래동력인 25~29살 청년도 2023년까지 18만명대를 유지하다가, 2025년부터 급속히 줄어 2027년 15만명 이하로 떨어지고, 2031년이 되면 10만명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2017년 50만5000명으로 경남 전체 인구의 15%에 이른 65살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023년 20%(44만1000명), 2032년 30%(100만9000명), 2040년 41%(126만명) 등 빠르게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90살 이상 초고령 인구는 지난해 1만4000여명이었는데, 2025년 3만명, 2031년 5만명, 2040년 7만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부양인구와 피부양인구의 비율인 부양비가 올해는 2.4대 1이지만, 2026년 2대 1로 악화되고, 2030년 1.7대 1을 거쳐, 2041년 1대 1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현대 복지제도에서 아랫세대가 윗세대를 부양할 수 있는 이상적 비율은 3대 1로 본다.
김경수 경남지사는 “인구통계를 바탕으로 전략과 방향을 설정해야 지속가능한 사회로 갈 수 있다. 모든 정책을 인구통계에 기초해서 설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