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청년인재발굴 매칭데이가 열렸다.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누리집
연간 국·시비 42억원이 지원되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설립 5년 만에 휘청거리고 있다. 센터장과 갈등을 빚던 중간급 간부들이 센터장의 비리 혐의를 외부에 고발하자 일반 직원들이 중간급 간부들을 비판하는 호소문을 내는 등 점입가경이다.
29일 부산시와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직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일부 직원이 사내 신문고 등을 통해 간부 2명이 인격모독성 발언 등을 한다고 호소했다. 이에 센터장은 조직문화개선티에프(TF)팀을 꾸렸다. 티에프팀은 지난 7월 설문조사를 했는데 응답자의 70%가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센터장은 직장 내 괴롭힘을 하면 일벌백계하겠다고 발표하고 지난달 일부 직원이 지목한 간부 2명을 평사원으로 강등하고 인사위원회에 회부했다. 성희롱 소지가 있는 부적절한 발언과 강압적인 사내 분위기 조성, 폭언 등이 사유였다. 변호사 등 외부 인사 5명으로 꾸려진 인사위원회는 9월18일 전직 부장은 정직 1개월, 전직 팀장은 3개월 감봉 처분을 했다. 지난 8일 열린 재심에서도 인사위원회는 두 사람에게 같은 처분을 내렸다.
강등을 당한 두명은 “센터장의 채용 청탁을 거부하는 등 평소 센터장과 갈등을 빚어서 1년 만에 3~5차례 보직이 변경됐다. 지난 8월 국민권익위원회에 내부 비리를 고발했다가 결국 보복성 징계와 강등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센터장을 상대로 조사를 벌였고 경찰도 센터장을 상대로 제기된 여러 의혹을 조사하고 나섰다.
지난 24일엔 전체 직원 38명 가운데 29명의 직원이 호소문을 만들어 청와대 신문고에 올렸다. 이들은 호소문에서 ‘간부 2명이 센터장을 국민권익위원회 등에 고발했으나 인사위원회에서 징계를 당하자 공익 제보를 했다가 보복을 당했다고 악의적인 제보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4년 11월 롯데그룹이 중소·창업기업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20억원을 들여 설립했다. 이듬해 1월 재단법인 설립허가를 받았고 현재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기관이다. 부산시가 20억원, 중소벤처기업부가 22억원 등 해마다 국·시비 42억원이 지원되고 있다.
내부 갈등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부가 9월 감사를 했고 부산시도 7월 지도점검을 했으나 내부 갈등은 더 커졌다. 부산시 관계자는 “감사권은 없지만 앞으로 보조금 집행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