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오거돈 부산시장 등이 부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을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에 4300여명을 직고용하는 전기차 부품업체 생산공장이 들어선다. 원청업체와 하청업체들이 함께 부품을 만들고 연구개발을 하는 형식이어서 관심을 끈다.
부산시는 6일 오전 11시 부산시청 2층 복도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을 열었다. 협약 당사자는 16명이다. 원·하청업체 노사 대표와 서영기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 의장, 허용도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빈대인 부산은행장, 오거돈 부산시장, 박인영 부산시의회 의장, 하승철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 김종원 부산도시공사 사장 등 노사민정 대표들이다.
부산형 일자리의 특징은 노사민정이 국외에 지으려는 공장을 국내로 유치해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원청업체인 코렌스이엠(EM)과 하청업체 20여곳이 부산 강서구 미음·녹산·송정동에 부산시가 조성한 국제산업물류도시 8공구 30만㎡에 2031년까지 76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부품인 파워트레인 제조공장과 연구시설을 짓는다. 코렌스이엠이 10만㎡에 3000억원을 들여서 파워트레인 제조공장과 연구시설을 짓고 하청업체들이 4600억원을 들여 20만㎡에 코렌스이엠에 납품할 제조공장 등을 짓는다.
이곳에서 생산된 파워트레인은 2022년부터 세계적인 완성차업체인 ㅂ사 중국공장으로 수출한다. 코렌스이엠이 ㅂ사와 2022년부터 2031년까지 완성차 400만대 분량의 파워트레인을 납품하는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이다.
코렌스이엠과 하청업체들의 공장이 완공되면 원청 1200여명, 하청 3100여명 등 모두 4300여명의 일자리가 생기고 연간 평균 1조5000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부산시는 2022년부터 연간 평균 3조원의 지역내총생산(GRDP)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원·하청업체는 공동연구개발기금을 조성해 기술 연구를 함께하고 상호 기술을 이전하며 특허 무상 사용과 기술인력 파견을 한다. 또 신기술 교육훈련을 함께하고 당기순이익의 0.2%를 출연해 근로복지기금을 조성한다. 노조는 전환배치를 수용하고 사용자는 정규직 채용을 약속하고 초과이익이 발생하면 포상금을 지급한다. 부산자동차부품공업협동조합은 30만㎡규모의 국제산업물류도시 8공구를 양보했다. 부산시는 친환경차부품기술허브센터를 건립하고 스마트제조 실증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부산은행은 낮은 금리의 자금 지원을 약속했다.
이번 상생협약은 지난해 4월 부산시가 코렌스이엠에 국내 유턴을 제안해 성사됐다. 코렌스이엠이 3000억원을 투자해 중국에 공장을 짓는다는 소식을 들은 부산시가 행·재정 지원방안을 제시하면서 부산 투자를 제안했다. 양쪽은 협상을 벌여 지난해 7월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후 노사민정이 참여하는 실무회의를 통해 부산형 일자리 협약서를 확정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협약식에서 “전기차는 4차 산업혁명의 총아다. 부산의 경제체질을 미래산업으로 혁신할 것이다. 노와 사가 손을 맞잡고 원청과 하청이 어깨를 걸고 부울경이 같은 걸음을 내디딜 것이다. 독점하지 않고 공존하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제 부산국제산업물류도시에 전기차 부품생산과 연구개발 클러스터가 조성된다. 25년 전 르노삼성차 이후 최대 투자규모다. 노사 상생을 너머 원청과 하청의 상생으로 진화한 것이 부산형 일자리의 자랑이다. 부산은 대한민국 경제의 희망이 될 것이다. 150개국과 연결된 부산 항만을 통해 전기차 부품이 세계시장으로 수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