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6일 한국동서발전·한국석유공사·한국에너지공단·에너지경제연구원 등 4개 공공기관과 공유주방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중앙이 송철호 울산시장. 울산시 제공
울산시가 ‘울산형 공유경제 활성화’ 첫 사업으로 식품 제조·판매를 위한 주방을 여럿이 함께 사용하는 공유주방 운영에 나선다.
울산시는 6일 “남구 삼산동 근로자종합복지회관 4층에 공유주방을 마련해 청년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음달 말부터 직접 운영한다”고 밝혔다. 공유주방에는 66㎡의 공간에 조리시설을 갖춘 주방은 물론 메뉴 개발 등의 아이디어 공유와 창업 보육(인큐베이팅) 등을 위한 공간(회의실)도 마련된다.
울산시는 이달 중 공모를 통해 공유주방 입주자를 모집해 다음달 말 문을 열 예정이다. 입주자는 2명(팀)을 뽑는다. 이들은 서로 오전과 오후 번갈아 석 달 동안 수도·전기사용료 외에는 무상으로 공유주방을 사용하며 이후 독립할 수 있다.
울산시는 이날 이와 관련해 수도권에서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 중 한국동서발전·한국석유공사·한국에너지공단·에너지경제연구원 등 4개 기관과 ‘4개 기관이 공유주방에 필요한 물품을 기부한다’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울산청년창업사관학교는 공유주방 입주자를 위한 창업 단계별 교육과 전담 지도 등 창업 보육에 나설 예정이다.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4월과 7월 고속도로 휴게소에 공유주방 2곳을 개설했다. 식품위생법은 영업소당 1인 영업자 1개 영업을 하도록 하고 있는데, 당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일정 기간 규제를 면제·유예해 주는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해 주방 공간 분할 등이 가능하도록 했다. 광역자치단체에서 공유주방을 처음 운영한 곳은 서울이고 울산이 두 번째로 알려졌다.
울산시 사회적경제과 담당자는 "공유주방은 외식업 분야의 높은 폐업률을 낮추고, 소자본·소규모로 다양한 수요를 가진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데 유리한 사업 모델이다. 코로나19 사태 뒤 온라인 구매나 배달 이용을 선호하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외식산업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기 활성화에 새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