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단체가 해양수산부와 부산시에 ‘해운대구 운촌항 일대 거점형 마리나항만 조성 사업’(운촌항 마리나 사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동백섬 지키기 비상대책위원회와 미래공익비전연구소 등 16개 시민단체는 4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해수부와 부산시는 문화재보호구역인 동백섬 앞바다의 운촌항 마리나 사업을 즉시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 사업은 자연환경을 크게 훼손시킨다. 운촌만의 해수 유동이 막혀 항만 내 오염도 심각해진다. 동백섬 주변 교통체증도 더욱 심해져 교통지옥으로 변할 것이다. 지역 주민들이 이런 불이익을 모두 떠안게 된다. 특히 특정 민간사업자인 삼미 컨소시엄에 이익을 몰아주는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또 “전 국민을 상대로 사업 반대 서명운동에 들어간다. 해수부는 이 사업을 재검토해야 한다. 부산시도 해수부가 재검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미 컨소시엄 쪽은 “국가사업 차원에서 마리나항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해수부의 정식 절차에 따라 사업 진행 중이며 특혜와는 전혀 상관 없다. 오해가 쌓인 듯하다. 주민 의견을 받아들여 사업계획을 수정 보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운대구는 전문가와 주민 의견을 수렴한 결과, 이 사업에 대해 ‘우려’ 의견으로 해수부에 전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해운대구 기획조정실 관계자는 “해양 공공재 사유화 우려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고 정리됐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해운대구 의견을 접수해 심의를 거쳐 사업 진행 여부를 판단한다.
운촌항 마리나 사업은 2014년 12월 해수부의 민간투자사업 공모에서 출발했다. 2015년 8월 삼미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삼미 컨소시엄은 이후 해수부와 협의를 거쳐 국비와 민간자본 등 840여억원을 들여 운촌항 일대 터 12만4000㎡에 거점형 마리나항만 개발 계획을 세웠다. 개발 계획에는 운촌항 일대 1만9277㎡를 매립해 마리나 항만으로 개발하고, 길이 335m의 다목적 방파제 건설이 포함됐다. 또 요트계류장과 공원, 전시관, 클럽하우스 등이 들어선다.
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