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11일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킹스)와 ‘원전 해체 전문인력 양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체결은 서면(비대면)으로만 이뤄졌다. 사진은 지난 4월 울주군,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 킹스 등과 9개 기관·기업이 참여하는 ‘원전 해체 전문기업 울산지역 투자와 공동 기술개발’ 협약 체결 때 모습. 울산시 제공
울산시는 11일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킹스)와 ‘원전 해체 전문인력 양성’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날 협약 체결은 울산시가 지난해 4월 원전 해체연구소를 부산시와 공동 유치한 뒤 산학연과 협력해 대학·연구소·전문기업·지원시설·연관산업 등이 집적화된 원전해체 산업을 육성하려 이뤄졌다. 시는 앞서 지난 4월 울주군·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킹스 등과 9개 기관·기업이 참여하는 ‘원전 해체 전문기업 울산지역 투자와 공동 기술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에 따라 킹스는 먼저 원전 해체 산업 관련 교육과정을 제공·운영하게 된다. 또 내년부터 2024년까지 해마다 장학생 5명을 선발해 장학금과 생활비·국외 단기연수 등을 지원하고, 원전 해체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인재 양성에 나선다.
울산시는 지역 인재 선발 홍보 지원, ‘스마트 원전 해체 융합인력 양성사업’의 시비 지원, 정규 교육과정을 수료한 지역 인재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행정 지원 등을 맡는다. 킹스는 앞서 지난 6월 정부 공모 과제인 스마트 원전 해체 융합인력 양성사업에 울산지역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5년 동안 총사업비 33억1800만원 가운데 국비 22억4000만원과 시비 2억2400만원을 지원받는다.
울산시는 이 사업을 통해 원전 해체 산업 기술과 함께 인공지능, 빅데이터, 방사선, 환경, 폐기물 등 분야에 능통한 석사급 실무 리더형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시는 앞서 지난 2월 원전 해체 분야 연구개발, 인력양성, 기업지원, 인증시험, 해체 절단, 폐기물, 환경복원 등 6개 분야 전문가 27명으로 이뤄진 ‘원전 해체 산업 육성 전문가 워킹그룹’도 발족했다.
울산시 에너지산업과 담당자는 "울산의 우수한 산업 기반과 킹스, 유니스트 등의 세계적인 연구역량을 융합해, 울산을 미국·영국·프랑스·일본 등 기존 4대 원전 강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 5대 원전 해체 산업 선도 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