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부산시청에서 부산 여성단체들이 부산시에 성차별 철폐와 성평등 보장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 여성단체들이 부산시에 성차별 철폐와 성 평등 보장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여성단체연합과 전국공무원노조 부산지역본부 등 단체는 1일 ‘여권통문의 날’을 맞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시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철폐하고, 성 평등을 보장하는 대책 마련에 당장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엔번방’ 등 디지털 성 착취 사건의 충격이 가기도 전인 지난 4월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권력형 성폭력 사건이 발생했다. 이어 부산지검 부장검사의 성추행 의혹 등 곳곳에서 성폭력 사건이 계속 발생했다. 이처럼 반복되는 성범죄 원인은 남성 중심적인 권력과 가부장적 사회구조의 문제다. 직장 내 성폭력은 이런 사회구조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고용환경의 문제로 이어져 여성 노동자를 위협한다”고 짚었다.
이들 단체는 “부산시는 근본대책 마련을 위한 논의체계를 당장 마련해야 한다. 정책 전반 수립·실행 등 모든 과정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젠더 거버넌스를 만들어야 한다. 성폭력 피해자가 직장과 일상으로 안심하고 복귀할 수 있도록 회복 프로그램 등 실질적인 조처에 나서라”고 강조했다.
김순애 부산여성단체연합 부대표는 “권위적·남성 중심적 사회 문화부터 바꿔야 한다. 피해자 고통을 공감할 수 있는 성인지 감수성도 길러야 한다. 지역사회 각 영역에서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부산시는 부산형 젠더 거버넌스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권통문은 1898년 9월1일 우리나라 최초로 여성의 권리를 선언한 날이다. 당시 서울 북촌 여인들로 결성된 단체 찬양회에서 여권통문 발표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 선언으로 1908년 미국 여성 노동자 시위보다 10년이나 앞선 여성인권선언이었다는 평가받는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