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6회 부산시의회 임시회 1차 본회의. 부산시의회 제공
부산시의회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원전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을 규탄했다.
부산시의회는 26일 제296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일본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 전면 철회 촉구 결의안’을 참석자 모두의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결의안에서 부산시의회는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원전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을 즉각 철회하고 후쿠시마원전 오염수에 관한 모든 정보를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변국들과 협의하라”고 촉구했다. 또 우리 정부엔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과 관련해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잠정조처 신청과 제소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와 국내 해역의 방사능 유입 검사를 대폭 강화하라”고 촉구했다.
의원들은 결의문에서 “후쿠시마원전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은 생태계와 환경에 축적되어 회복될 수 없는 영구적인 해양오염을 발생시키고 현세대뿐 아니라 미래세대 삶의 터전마저 위협할 것이다. 일본 정부의 이번 결정은 최인접국인 우리나라와 충분한 협의과정 없이 이루어진 일방적 조처이며 전 세계인의 안전과 해양환경에 불가역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무책임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의원들은 후쿠시마원전에 사용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을 비판했다. 의원들은 “원전 오염수에는 삼중수소(트라이튬)와 인체에 치명적인 세슘137·스트론튬을 포함한 방사성 물질이 다수 잔존해 있다. 삼중수소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라는 여과장치를 거치더라도 제거되지 않아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채 바다로 배출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또 의원들은 경제적 타격을 우려했다. 의원들은 “바다로 방출된 후쿠시마원전 방사능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한국 근해에 유입되면 일본 수산물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의 소비심리 위축과 소비 급감으로 국내 수산업이 타격을 입고 수출 단절로 수산업계의 피해가 막심할 전망이다”고 주장했다. 의원들은 “해양을 기반으로 하는 레저, 연구개발(R&D), 4차 산업 등 대한민국 최대 해양도시인 부산시의 산업 전반이 성장 동력을 잃고 침체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