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리노 나쓰오 ‘일몰의 저편’
나쁜 소설 썼다며 작가 감금
‘올바른 작품’ 강요하는 당국과
표현의 자유 위해 싸우는 작가
나쁜 소설 썼다며 작가 감금
‘올바른 작품’ 강요하는 당국과
표현의 자유 위해 싸우는 작가

기리노 나쓰오 지음, 이규원 옮김 l 북스피어 l 1만5800원 강간, 어린이 성애증, 페티시즘 같은 소재를 주로 다루는 소설가 마쓰 유메이에게 어느 날 소환장이 날아든다. 발신자는 ‘총무성 문화국 문화문예윤리향상위원회’(문윤)라는 기구. 소환장에는 “귀하에 대한 독자의 제소를 심의하고 사정 청취를 하고자” 출두를 요구한다고 적혀 있다. 반신반의하며 알려준 장소에 나간 마쓰는 그 길로 한적한 바닷가 절벽 위 ‘요양소’에 갇히는 처지가 된다. <얼굴에 흩날리는 비> <그로테스크> <아웃> 등의 소설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일본 작가 기리노 나쓰오의 신작 <일몰의 저편>은 문학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국가 기구의 간섭과 억압을 다룬 디스토피아 소설이다. 세계적인 미투 물결과 ‘정치적 올바름’을 요구하는 분위기 속에서 작가들이 느끼는 불만과 불안을 추리적 기법에 담았다. 기리노 나쓰오는 나오키상과 다니자키 준이치로상, 요미우리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올해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일본 펜클럽 회장에 취임한 중견 작가다. “독자의 고발이 있었습니다. 마쓰 유메이는 강간이나 폭력, 범죄를 긍정하는 것처럼 쓰고 있다고. (…) 놀랍게도 이런 고발은 대부분 여성 독자들에게서 나왔습니다. (…) 개중에는 강간 같은 성행위에 여자가 환희를 느끼는 장면도 있더군요. 여성 독자들이 분노하는 것은 마치 그런 행위를 긍정하는 듯한 묘사 때문입니다.” 요양소 소장인 다다 고지로는 마쓰에게 이렇게 말한다. 그 자신 여성인 마쓰는 다다가 제시하는 ‘혐의’를 납득하지 못하고 이렇게 반박한다. “소설은 옳다 그르다로 판정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사건을 그대로 쓸 뿐, 사건을 심판하는 게 아니에요. 진실은 당신이 말하는 올바름과는 다른 곳에 있으니까요. 그건 독자에게도 전해질 겁니다. 왜 당신들은 요즘 할리우드 영화처럼 정치적 올바름에 갇힌 듯한 멀쩡한 말만 하는 겁니까.” 소설 앞부분에서 마쓰와 다다는 표현의 자유와 그 한계에 대한 일종의 토론을 벌이는데, 다다가 문학작품에서 표현의 자유를 제약하는 근거로 ‘헤이트스피치법’을 드는 것이 흥미롭다. 혐오발언을 규제하고 처벌할 수 있도록 한 이 법이 문학작품에 대한 통제를 가능케 하는 법적 근거라는 것이다. “일 년 반 전에 헤이트스피치법이 가결되었죠. 그걸 계기로 헤이트스피치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표현물에 등장하는 성차별, 인종 차별 등도 규제해 나가기로 한 겁니다. 해서 우리는 먼저 소설을 쓰는 작가 선생님들이 룰을 지키게 하자고 얘기가 된 겁니다. 법적 근거가 있으므로 우리가 위법 행위를 하고 있는 건 아닙니다.” 이에 대해 마쓰가 헤이트스피치는 예술 표현이 아니고 선동일 뿐이며 “예술 표현은 창작물이니까 창작자가 책임을 지는 것”이라며 맞서지만, 다다에게 그 말이 먹혀들 리는 만무하다. 그는 마쓰가 “이곳에서 자기 작품의 문제점을 확실히 직시해서 인식하고 훈련을 통해 교정한다면 귀가할 수 있”다고 말한다. 마쓰의 추가 질문에 그는 “사회에 적응한 작품”, “올바른 작품”을 쓰는 것이 ‘교정’이라고 설명한다. 다다의 윤리주의적 문학관은 소설 뒷부분에서 이런 질문으로 표출된다. “당신이 쓴 것은 좋은 소설입니까, 나쁜 소설입니까?”

기리노 나쓰오의 소설 <일몰의 저편>에서 주인공인 작가가 수감된 바닷가 절벽 위 요양소는 “세계의 끝”으로 묘사된다. 책 표지에 쓰인 이 사진은 소설 무대의 그런 분위기를 담았다. 북스피어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