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광현·유진화 지음 l 희망읽기 l 2만원 2003년 이후 2019년까지 국내에서 천만 명 이상의 관객을 끈, 이른바 ‘천만 영화’는 모두 27편이다. 한국 영화는 19편에 달하는데, 이 가운데 9편이 역사를 다룬 ‘사극’이다. 특히 <변호인>처럼 근현대사를 다룬 작품들은 체제 비판적인 성격도 강하게 드러낸다. 이런 사실들은 과연 무엇을 뜻할까?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는 ‘문화연대’ 창설, 계간 <문화/과학> 발행 등 문화운동을 주도해온 심광현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영상원 영상이론과)와 그의 아내 유진화가 함께 쓴 책이다. 지은이는 ‘천만 영화’를 주된 소재로 삼아 한국의 역사지리적 배경과 대중의 의식적·무의식적 정신적 변화의 과정 사이의 상호작용과 그 함의를 읽어 나간다. 철학, 영화이론뿐 아니라 인지생태학까지 동원해 통섭적인 방식으로 나름의 ‘이론화’를 꾀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본적으로 지은이는 “오늘날 대중영화는 기존의 철학이 제공하지 못하는 철학적 실천의 본연의 역할을 의도치 않게 대신 떠맡게 됐다”고 본다. 영화는 정신분석학, 뇌인지과학과 함께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을 매개하는 회로로서, 분과학문으로 잘게 쪼개지는 등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대문자 철학’ 대신 대중의 인생관·세계관을 수정하거나 재통합하는 등의 ‘철학적 실천’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중영화는 “가장 빠른 시간에 가장 많은 대중들의 마음을 흔들며 좌절된 소원-성취 꿈의 실현을 위한 다양한 해법을 시뮬레이션해 ‘뇌-뇌 소통’을 활성화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대중영화는 현실 속 모순(미메시스1)을 영화-이야기로 재현(미메시스2)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현실 속 모순을 다시 보게(미메시스3) 만든다. 지은이는 이때 대중영화가 관객들에게 일으키는 효과가 ‘모순의 봉합·전위에 따른 현실 순응·체념’(미메시스3-1) 또는 ‘모순의 응축·폭발에 따른 현실 비판·변혁’(미메시스3-2) 등 두 가지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삼중 미메시스의 순환 구조”가 있다고 주장한다.

2019년작 ‘천만 영화’ <기생충>의 한 장면. 시제이이앤엠(CJENM)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