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기술진화가 바꿀 수 없는 풍경과 마음

등록 2021-11-05 05:00수정 2021-11-05 10:32

[한겨레Book]

행성어 서점
김초엽 지음 l 마음산책 l 1만4500원

인공지능, 사이보그, 우주여행 같은 스펙터클한 소재를 섬세한 감성과 접목시켜 에스에프(SF) 문학의 새로운 독자층을 만들어낸 김초엽 작가의 짧은 소설집이 나왔다. 기술진보로 인한 신체의 기계화에 대한 탐구와 기술문명에서의 부적응과 소수자 문제 등 작가가 집중해온 주제들이 14편의 작품에 고루 담겨 있다.

표제작은 많은 이들이 상상해보는 미래, 모든 언어를 해석할 수 있는 통역모듈이 일상화된 시대, 외국어뿐 아니라 외계어까지 자유자재로 이해할 수 있게 된 세상에서 시술부적응자로 외계어를 공부하는 교수가 등장한다. 많은 언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정작 자기 힘으로는 아무런 언어도 구사할 수 없게 된 세상에서 행성어 서점 점원인 ‘나’와 교수 사이에는 유대감이 싹튼다. 첫 수록작 ‘선인장 끌어안기’는 ‘접촉 증후군’에 걸린 건축가의 비통한 사랑을 인공지능 로봇의 시선으로 그린다.

‘포착되지 않는 풍경’에서 과거 기술이 되어버린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사진가인 주인공은 한 외계 행성의 레몬색 별안개를 화면에 담고자 하지만 실패한다. 안개를 구성하는 금속 미생물 입자들이 데이터 오류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파일 복구를 포기한 주인공은 할 수 없이 두 눈에 풍경을 담기 위해 안개 앞에 선다. 누군가 그림을 그리자 옆사람은 글을 쓰기 시작하고 “정적 사이에 사각사각 무언가를 쓰거나 그리는 소리만이 끼어들었다.” 기계문명이 모든 걸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은 미래가 와도 우리의 마음과 기억을 담는 아날로그적 행위는 여전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예언처럼 읽힌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