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이 세상에서 혼자가 된다는 성취

등록 2021-11-12 04:59수정 2021-11-18 18:29

루시
저메이카 킨케이드 지음, 정소영 옮김 l 문학동네 l 1만2000원

“나는 이 세상에서 혼자가 되었다. 그것만 해도 상당한 성취였다. 그걸 이루려 애만 쓰다 죽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으니까.”

피식민자, 여성, 흑인, 이주민의 정체성으로 강렬하고 시적인 소설을 써온 저메이카 킨케이드의 자전소설 <루시>가 국내 처음 번역 출간됐다.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로 꼽혀온 킨케이드는 영국 연방 내 독립국인 앤티가 섬 출신이며 현재 미국에서 활동 중이다. 17살이던 1966년 모국을 떠나 뉴욕으로 갔다. 외국인 입주 보모로 일하면서 야간에 학업을 이어갔는데, 그 시절의 체험이 <루시>의 바탕을 이룬다.

‘나’는 19살에 집을 떠난다. 버린 것이다. “가정교육이라고 해봤자 난잡한 여자로 자라지 않도록 단속하는 게 전부”였던 엄마, 나와는 달리 남동생은 의사나 변호사가 되길 바라는 아빠, 그런 남동생 셋. “가족이란 결국 내 삶의 목덜미에 맷돌처럼 매달린 사람들 아니던가?” 미국 중산층 가정의 “식모 방”에서 나는 스스로 새로운 삶을 열어간다.

나를 고용한 미국인 부부를 통해 제국주의와 가부장제의 허름한 민낯을 마주하는 1년이 시간적 배경이다. ‘머라이어’ 부인은 나를 “엄마처럼” 아껴주지만 그의 ‘선량한 차별’은 나를 자주 아연하게 만든다. 가령 공감대를 만들기 위해 “내게 미국 원주민 피가 흐른다”는 말을 꺼낼 때. “대체 어떻게 정복자가 동시에 피정복자일 수도 있다는 주장을 할 수 있지?” 

<루시>를 비롯해 킨케이드 소설은 ‘말대꾸 형태로 응답’ 하는 서술이 특징이다. 이런 되받아치기는 첫째, 그 자체로 저항이며 둘째, 힘의 불균형을 간파하는 날카로운 도구가 된다. “원주민의 피”나 인종의 구분을 주장할 수 있는 힘있는 집단이 있고, 그 주장을 받아들여야 하는 힘없는 집단이 있다. 이 소설에서는 흑인이나 백인 같은 단어가 한 번도 쓰이지 않는다. 

저메이카 킨케이드. 문학동네 제공
저메이카 킨케이드. 문학동네 제공

엄마 외 다른 여성과 낳은 자식이 몇 명인지도 모르고 장례 치를 돈조차 남기지 않은 채 세상을 떠난 아빠, 가족이 귀여워하는 토끼를 텃밭을 망가뜨린다는 이유로 사고인 척 죽여버리는가 하면 아내 친구와 불륜을 일삼는 머라이어의 남편. 남성 인물에 대한 묘사와 가부장제의 피해자이자 ‘공모자’였던 엄마, 머라이어에 대한 감정은 신랄함을 지나 냉담하다. “난 엄마와는 전혀 달라.” 엄마 편지는 다 불태워버릴 만큼 매몰차고 단호한 딸을 창조한 작가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삶을 시작할 때는 유용한 방법이지요.”

석진희 기자 nin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범죄도시4’ 천만 돌파…‘파묘’ 천만과 다른 이유는 1.

‘범죄도시4’ 천만 돌파…‘파묘’ 천만과 다른 이유는

‘문화재’ 6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유산’으로 명칭 변경 2.

‘문화재’ 6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유산’으로 명칭 변경

고구려 토기에 새겨진 ‘해시태그’…# 문양은 행운의 상징 3.

고구려 토기에 새겨진 ‘해시태그’…# 문양은 행운의 상징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한국 바이올리니스트 3명 준결선 진출 4.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한국 바이올리니스트 3명 준결선 진출

평생 ‘좋은 연극’ 위해 헌신한 연극계 큰 어른 5.

평생 ‘좋은 연극’ 위해 헌신한 연극계 큰 어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