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99/425/imgdb/original/2022/0414/20220414504162.jpg)
모호한 정체성들
에티엔 발리바르·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음, 김상운 옮김 l 두번째테제 l 2만5000원 마르크스주의를 비판적으로 쇄신하는 데 매달려온 정치철학자 에티엔 발리바르(80)는 ‘세계체제론’을 제시한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1930~2019)과 함께 1985~1987년 ‘인종’ 등을 테마로 세미나를 몇 차례 열었고, 1988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인종, 국민, 계급>을 썼다. 이 책은 30여년이 지났음에도 민족, 인종, 국민, 국가 등의 개념들이 더욱 모호하게 착종되고 있는 현실과 강하게 공명한다. 두 학자는 공통적으로 ‘현대 인종주의’에 대한 물음, 곧 보편주의를 앞세우는 자본주의 세계체제에서 왜 인종주의처럼 맥락이 달라 보이는 이데올로기가 존속하고 더욱 심화하느냐는 물음을 핵심으로 삼는다. 두 학자는 “부르주아적 이데올로기의 보편주의가 무엇보다도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의 형태를 취하는 위계와 배제의 체계와 양립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며, 근대 자본주의가 어떤 위계와 배제의 체계를 통해 적대와 갈등을 만들어내는지 파고든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쇄신하고 재구성해온 프랑스 철학자 에티엔 발리바르(80).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쇄신하고 재구성해온 프랑스 철학자 에티엔 발리바르(80).](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472/599/imgdb/original/2022/0414/20220414504163.jpg)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쇄신하고 재구성해온 프랑스 철학자 에티엔 발리바르(80).
![‘세계체제론’으로 유명한 미국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1930~2019). ‘세계체제론’으로 유명한 미국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1930~2019).](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465/620/imgdb/original/2022/0414/20220414504164.jpg)
‘세계체제론’으로 유명한 미국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1930~2019).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