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가난했지만 존엄 지킨 실버 취준생의 마지막 언어

등록 2022-05-13 04:59수정 2022-05-13 09:27

예순살, 나는 또 깨꽃이 되어
이순자 유고산문집
이순자 지음 l 휴머니스트 l 1만5000원

지난해 온라인상에서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던 ‘실버 취준생 분투기’가 단행본으로 묶여 나왔다. 전형적인 종갓집 맏며느리로 가족에 헌신적인 삶을 살던 저자가 황혼이혼 후 뛰어든 취업 전선을 기록한 원고지 160매의 글은 한국 사회에서 빈곤 노인이 처한 현실을 심층적으로 드러낸, 완성도 높은 르포르타주였다. 경북 <매일신문> 시니어문학상 논픽션 부문 수상작으로, 저자가 그렇게도 원하던 작가로서 주목받기 직전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이번에 나온 유고집 <예순살, 나는 또 깨꽃이 되어>는 ‘실버 취준생 분투기’를 비롯해 가난하고 병마에 시달리는 노후를 보내면서도 저자가 쓰기를 멈추지 않았던 글들을 담았다. 환갑 넘어 생계 전선에 뛰어든 저자에게 그가 가지고 있던 상담치료사 등 여러 자격증은 무용지물이었다. 주어진 건 백화점, 공사장 청소, 어린이집 주방 담당, 유아돌보미, 장애인 활동 지원사 등 일용직에 가까운 일뿐이었다. 그나마도 사용자에게 노인은 어떤 피고용인보다 손쉽게 갈아치울 수 있는 존재였기에 그는 4년여간 열 개도 넘는 직업을 전전해야 했다. 그럼에도 자신이 돌보던 이들에게 보여준 저자의 연민과 애정은 우리 사회가 지켜야 할 상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유고시집 <꿈이 다시 나를 찾아와 불러줄 때까지> 도 함께 나왔다. 저자의 스승이었던 이문재 시인은 서문에서 “기초생활 지원금을 받는 ‘독거노인’으로 살아가지만 생에 대한 존엄을 잃지 않았던” 저자에 대한 마음 깊은 애도를 남겼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